메릴랜드 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지질학 조교수 니컬러스 쉬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달에 설치한 지진계를 통해 얻은 자료와 달정찰궤도선(LRO)이 찍은 이미지를 결합해 분석한 이런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실었다.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와 12, 14, 15, 16호는 각각 지진계를 설치해 1969년부터 1977년까지 모두 28차례에 걸쳐 규모 2~5의 진동을 탐지했다.
연구팀은 이 지진 자료들을 새로 분석해 진앙을 정확히 파악한 뒤 LRO의 이미지를 대입한 결과, 적어도 8건 이상이 충상단층을 따라 지각이 움직이면서 생긴 지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소행성 또는 운석 충돌이나 달 내부 깊은 곳의 요동에 의한 진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지진들의 진앙이 충상단층에서 30㎞ 이내에 있어 단층이 지진을 유발한 것으로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 1977년 이후는 지진 자료가 없지만 달에 여전히 지각 이동에 따른 지진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쉬머 박사는 "아폴로 자료에 기록된 상당수 지진이 LRO 이미지에서 나타난 충상단층과 매우 가까이서 발생했다는 점을 발견했다"면서, 산사태나 바위가 굴러떨어져 있는 것과 같은 최근의 단층운동을 나타내는 지질학적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지금도 활성단층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밝혔다.
미셸 박 스틸의원 코로나서 회복…격리 끝내고 남가주 복귀
오바마케어 의무가입 부활…약값 인하 약속
1400불 지급 시기 2월말~3월초 예상
집에 간 트럼프, 굴욕 계속…거래 은행서 계좌 폐쇄
H마트 어바인에 또 2개 매장…마켓경쟁 가열
LA카운티 백신 부족 사태 “오도가도 못한다”
미 공화 상원 대표, 바이든의 '트럼프 뒤집기'에 '잘못된 방향'
바이든 “코로나 이기기위해 전시같은 총력전 펼치겠다”
中전문가 '바이든 백신 접종계획 실패 시 내년까지 팬데믹'
"한인타운 코로나 위험지대"…세디오 LA1지구 시의원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