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문화 산책] '괴먹'의 유행과 먹거리의 신성함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은 삶의 큰 즐거움 중의 하나다. 무릇 음식은 감사하며 먹어야 하는데 우리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 같다. 예를 들어 유튜브를 보면 음식을 함부로 대하는 화면이 넘쳐난다.

유튜브에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가득하다. 온갖 시사문제를 놓고 갑론을박 미주알고주알 시끄러운 것부터 연예인 이야기, 돈벌기, 건강, 여행, 스포츠, 음악, 예술, 인문학 강좌, 음식 등등 다양하다. 내가 가장 많이 찾는 것은 클래식 음악 프로그램이고, 가장 싫어하는 것은 이른바 먹방, 쿡방 같은 음식 프로그램들이다. 시사 프로그램은 울화가 치밀어서 아예 안 본다.

음식을 만들고, 먹는 프로그램이 무척 많다. 부지런히 만들고 열심히 먹어치우고, 그런 걸 많은 사람들이 즐겨 본다고 한다.

개인적 취향이지만 음식 만들기나 맛집 탐방, 식도락, 미식가 같은 것은 그런대로 도움이 되지만 이른바 ‘먹방’은 거부감이 느껴진다. 특히 많이 먹기, 빨리 먹어치우기 등은 역겹다. 짜장면 몇 십 그릇 먹기, 대야만한 그릇에 수북하게 담긴 라면 빨리 먹어치우기, 곱창 몇 십인분 먹기…. 이건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니라, 마구 쑤셔 넣는 것이다. 씹지도 않고 삼킨다. 허겁지겁 음식을 쑤셔 넣는 모습이 보기 좋을 리 없다. (물론 이런 먹방이 한국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런 것을 요새는 ‘괴먹’이라고 부른다는데 이 괴먹 콘텐츠의 인기가 대단하다 한다. 조회수가 몇 백만이나 될 정도로 많은 사람이 구경하고, 대식가 유튜버는 꽤 막강한 인기를 누리며 돈도 많이 번다고 한다. 유튜버는 돈벌이가 되니까 목숨을 걸고 먹는다 쳐도, 그걸 수많은 사람들이 들여다보는 건 참 이해가 어렵다.

이처럼 인기가 높아지자 기업들이 괴먹 상품을 개발하기도 한다는 소식이다. 한 소비자학과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유튜브에서 괴식(怪食) 문화가 유행하는 이유는 시청자에게 색다른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식품업계가 이런 괴식 문화를 잘 이용하면 소비자의 욕구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 있고, 실질적인 매출 성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옛 어른들은 먹을 것 가지고 장난치면 못 쓴다고 가르치셨다. 밥이 곧 하늘이라는 말씀도 하셨다. 쌀 한 톨에는 농부의 땀 88방울(米)이 담겨 있으니, 밥 한 알도 함부로 하지 말라고 이르셨다. 그런 엄숙한 말씀 들먹이지 않더라도, 굶주리는 이웃들을 생각하면 괴먹은 사람이 할 짓이 아니다. 북한 주민들, 아프리카 같은 곳의 어린이들….

예로부터 음식은 신성한 것으로 여겨왔다. 식구(食口), 한솥밥, 밥상공동체… 같은 낱말들이 갖는 의미는 범상치 않다. 교회에서 예배 후 전 교인이 애찬을 함께하는 것도 중요하고, 밥알 하나 남기지 않는 발우공양의 의미도 크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다, 먹는 게 남는 거다, 먹고 죽은 귀신은 때깔도 곱다, 밥 한 알이 귀신 열을 쫓고 고기 한 점이 귀신 천 마리를 쫓는다는 속담도 생겨났고, “이게 모두 먹자고 하는 짓이다”라는 탄식도 있다.

우리 어렸을 때는 밥상에 앉아 먹기 전에 “잘 먹겠습니다”라고 외쳤고 다 먹고 나서는 “잘 먹었습니다”라고 진심으로 감사했다. 이제 좀 먹고 살 만해졌다고 음식을 함부로 대하는 방자함을 하늘은 뭐라고 하실까 겁난다.


장소현 / 시인·극작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