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해수면 상승으로 열대성 폭풍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서식환경을 흔들어놓는 열대성 저기압이 인간 이외에 다른 동물의 생태계와 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캐나다 맥마스터대학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진화생물학자 조너선 프루이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리케인 뒤 거미 생태계 변화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생태 및 진화(Ecology & Evolution)' 최신호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열대 저기압의 길목인 멕시코와 미국의 대서양 연안과 만(灣)에 집단 서식하는 '아넬로시무스 스투디오수스(Anelosimus studiosus)'로 알려진 거미 종(種)의 암컷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열대성 폭풍이 잦은 대서양 해안과 만에서 총 240개 개체군을 확보하고, 극단적인 기후가 거미의 특정 기질을 발현하도록 자극하는지에 초점을 맞춰 2018년 이 지역을 강타한 허리케인 플로렌스와 마이클, 아열대 폭풍 알베르토 등의 전후와 폭풍을 겪지 않은 지역의 개체군을 비교 연구했다.
폭풍의 진로가 확정되면 경로상에 있는 거미 개체군의 공격성을 파악하고 폭풍 뒤의 반응을 살폈다. A.스투디오수스 거미는 유순한 종과 공격적인 종으로 나뉘는데, 공격성은 먹이에 반응하는 개체 수와 속도, 수컷과 알을 먹는 경향, 포식성 거미의 침입에 대한 반응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광훈 목사 단체' 후원자 금융거래 수사
“11세 소녀 수차례 성폭행” 토론토 60대 한인 목사 체포
퇴근 후 회식도 노동법 소송 빌미 된다
자바 한인업체 ‘노동법 단속’ 곤욕
법무장관에 '추다르크' 등판…檢, 윤석열 손발 잘릴까 초긴장
김정은, 전원회의 소집···한미 "北 중대사변 준비" 첩보입수
‘푸드스탬프’ 70만명 못받는다
北 “미국이 무력 사용하면 우리도 상응행동”
모든 미국 출입국자 얼굴촬영 의무화 추진
[사진] 검찰, 청와대 압수수색 … 문 정부 3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