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과학 이야기] 100년 가까이 된 허블 은하분류법 '흔들'

우주를 구성하는 은하는 미국의 저명 천문학자인 에드윈 허블이 1927년에 제시한 분류 기준을 따르고 있다. 당시 관측된 은하를 모양에 따라 분류했는데 두 갈래로 된 소리굽쇠를 닮았다고 해서 '허블 튜닝 포크(Hubble Tuning Fork) '로도 불린다.

100년 가까이 교과서처럼 이용돼온 이 은하 분류법이 시민과학자들의 참여로 오류가 확인되고 바뀔 처지에 놓였다.

영국 왕립천문학회(RAS)에 따르면 미국 해버포드 칼리지의 카렌 마스터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시민과학자 참여 프로그램인 '갤럭시 주(Galaxy Zoo)' 자료를 활용해 허블 분류법의 오류를 밝히는 연구결과를 학회 월보(MNRAS)에 발표했다.

허블은 은하 중앙의 별이 모여있는 팽대부(bulge) 크기와 나선 팔이 감긴 정도 등 두 개의 특성을 갖고 은하를 분류하면서 두 특성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했지만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이 골자다.



연구팀은 수십만명의 시민과학자가 참여해 특성별로 분류한 6천여개의 은하를 통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 허블 박사가 활동하던 시기에는 가까운 곳에 있는 밝은 은하만 관측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세계 각지에서 관측된 은하 이미지를 시민과학자들이 특성별로 분류해 놓음으로써 당시보다 15배나 많은 은하 샘플을 갖고 연구가 진행될 수 있었다고 한다. 허블 박사는 허블 튜닝 포크 외에도 은하의 후퇴속도가 은하의 거리에 비례한다는 '허블의 법칙'을 발견해 우주팽창설의 기초를 세우는 등 천문학계에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미국항공우주국은 그의 업적을 기려 우주망원경에 그의 이름을 붙이기도 했다.

허블 분류법은 은하를 크게 나선은하와 타원은하, 불규칙 은하로 구분하고 있다. 은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선은하로 모양에 따라 정상 나선은하(S)와 막대 나선은하(SB)로 나누고 나선 팔이 휘감긴 정도에 따라 a~c 3가지 형으로 세분했다. 타원(elliptical) 은하는 편평도에 따라 E0~E7으로 구분해 전체적으로 소리굽쇠 모양을 띄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