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과학 이야기] 부드러운 음식이 턱구조 바꿔 순치음도 가능해져

신석기 시대 때 이뤄진 인류의 식습관 변화로 /f/나 /v/와 같은 순치음(脣齒音) 발음이 가능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농경 문화가 정착해 부드러운 음식을 먹기 시작하면서 턱 구조가 바뀌어 아랫입술이 윗니에 닿을 때 나는 소리를 낼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스위스 취리히대학 언어학자 발타자르 비켈 교수가 이끄는 국제 학제 간 연구팀은 방대한 데이터 분석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이런 연구결과를 과학저널 '사이언스' 최신호에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현대 인류가 발음할 수 있는 소리가 약 30만년 전 호모 사피엔스가 등장한 이후 바뀌지 않았다는 기존 이론과는 엇갈리는 것이다. 비켈 교수 연구팀은 미국 언어학자 찰스 호켓 박사가 1985년에 내놓은 이와 비슷한 연구 결과에서 영감을 받아 이번 연구를 시작했다.

호켓 박사는 당시 일부 수렵-채집 민족의 언어에서 /f/와 /v/ 발음이 아예 없거나 덜 사용하는 것은 농경문화가 확산하면서 가져온 식단의 변화에 따른 것일 수 있다는 추정을 내놓았지만 논리적 근거가 허술해 결국 주장을 철회했다.

비켈 연구팀은 고인류 화석 자료를 검토하고 다양한 세계 언어를 분석하는 한편 생체역학 컴퓨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연구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 신석기 시대 이전 인간의 턱 구조는 위턱과 아래턱의 앞니가 맞물리는 겸자교합(鉗子咬合) 형태를 하고 있었다. 어렸을 때는 아래턱 앞니보다 위턱 앞니가 더 튀어나온 피개교합 상태지만 고기 등 딱딱한 음식을 섭취하면서 치아가 점차 마모돼 성인이 됐을 때는 겸자교합 형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아랫입술이 윗니에 닿을 때 나는 순치음 발음을 하기가 아무래도 더 어렵다고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