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 전문 웹사이트 '이미그레이션로닷컴(immigration-law.com)'은 지난 5일 "법안의 공동발의자가 311명까지 증가해 연방의석의 절반을 넘었고, 하원에서 이번 주 중(11일 혹은 12일)에 표결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매체는 "지금까지는 법안이 다수 공동발의자를 확보해도 소위원회에서 통과될 수 없었지만, 최초 발의자인 캘리포니아주 조 로프그렌(민주·19선거구) 의원의 촉구로 본회의에 오를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공동발의자로는 뉴저지주 앤디 김(민주·3선거구) 의원과 뉴욕주 그레이스 멩(민주·6선거구),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즈(민주·14선거구) 의원 등이 포함된다. 법안은 현재 7%로 제한된 국가별 영주권 쿼터를 취업이민에서는 아예 철폐하고, 가족이민에서는 15%로 늘리는 내용이 골자다.
현재는 한 국가 출신이 전체 영주권 취득자의 7%를 넘지 못하도록 돼 있는 규정 때문에 신청자가 많은 인도·중국(취업이민), 멕시코·필리핀(가족이민) 4개국은 별도의 우선일자를 적용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국·인도 출신 취업이민은 최대 12년 이상, 멕시코·필리핀 출신 가족이민 신청자들은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10년은 더 기다려야 한다.
따라서 국가별 쿼터가 철폐·확대되면 우선일자가 빠른 이들 국가 출신들이 연간 쿼터를 모두 잠식해 다른 국가 출신들의 영주권 문호 우선일자가 대폭 후퇴할 가능성이 크다. 결국 한국 등 일반 국가 출신들은 영주권 취득까지 대기기간이 크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또 현재 오픈 상태인 일반 국가 출신 취업이민 각 순위에도 우선일자가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퇴임 후 처음 입 연 트럼프 "뭔가 하겠지만 아직은 아냐"
동양선교교회 임시공동회의 또 충돌…TRO 두차례 승인한 법원
中전문가 '바이든 백신 접종계획 실패 시 내년까지 팬데믹'
백신접종 '예약 대란' 시니어들 속탄다
‘위안부 피해자 1억 배상’ 판결 확정…日 정부 항소 안 해
'후각 상실' 코로나 후유증 美가족, 안 걸린 딸 덕에 화마 피해
"美 전설적인 토크쇼 진행자 래리 킹, 코로나19로 별세"
'중국연계 학자' 색출했던 미국 정부, 일제 사면 검토
손상된 백신약병 빼내 가족에 먼저 맞힌 의사 절도죄 기소
골프 즐기던 호주 남성의 '비운'…떨어진 나뭇가지에 '비명횡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