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공포 기억'만 삭제할 수 있을까?

UC리버사이드 한인 연구진
'공포 기억' 저장 경로 발견
공포증·PTSD…치료 실마리

한인 학자 2명이 '기억 속 공포'로부터 벗어날 실마리를 발견했다.

UC리버사이드 세포생물학과 조준형 교수와 김웅빈 연구원은 18일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공포와 관련된 기억을 저장하는 신경세포를 찾은 뒤 해당 세포와 편도체 간 연결을 약화하면 관련 기억이 희미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생존에 위협이 되는 사건을 경험하면 이와 비슷한 상황이나 자극을 재경험할 때 두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이같은 반응이 과한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전쟁.자연재해.사고 등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뒤 사건 후에도 계속적인 공포와 고통을 느끼는 질환 이하 PTSD)나 공포증 등이 생기기도 한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해당 질환 치료법을 발견하기 위해 인간의 뇌에서 공포 기억을 저장하는 경로를 찾는데 주력해왔다.



연구팀은 우선 쥐를 대상으로 공포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세포와 해당 기억을 저장하는 경로를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실험 쥐에게 특정한 소리를 들려주고 이를 들려줄 때마다 약한 전기 충격을 가했다. 이 과정이 반복되자 쥐는 전기충격 없이 소리만 들어도 얼음이 된 듯 모든 행동을 멈추는 '프리징(freezing)' 현상을 보였다. 프리징은 쥐가 극도의 공포심을 느낄 때 보이는 반응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렇게 공포를 느낀 쥐는 특정 청각 신경세포와 편도체(뇌에서 정서 특히 공포.불안 등과 관련된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 간 연결이 강해져 있었다. 소리와 관련된 공포 기억을 만드는 '길'이 더 탄탄해졌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빛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해당 청각 신경세포와 편도체 간 연결을 약화했다. 이러한 조치가 취해진 뒤 소리를 들은 쥐의 공포 반응은 이전과 비교해 매우 약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조준형 교수는 "교통사고를 경험한 PTSD 환자는 자동차가 많은 거리에 있는 것만으로도 과거 상황이 연상돼 두려움을 느낀다"며 "다른 기억을 유지한 채 공포 기억만 선택적으로 약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고 전했다.

이어 "공포증.PTSD 등 불안 장애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데에 이번 연구가 가지는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윤 인턴기자 kim.jiyoon2@koreadaily.com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