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정점에 있을 때 집을 팔고 3년 후 첫 주택구매자로서의 도움을 받고 주택구매를 계획하는 사람들도 있다. 경제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주택가치가 지금보다는 떨어질 수 있다는 타이밍을 예상하며 투자의 가치를 최상으로 끌어올려 보려는 전략이다. 요즘 모기지 이자율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낮고 재융자하기에 가장 저렴한 것도 내 집 마련의 좋은 시기로 볼 수가 있겠다. 이자율은 언젠가는 오르게 된다. 아마도 내년 초쯤 경제가 다시 재가동되고 코로나 백신이 보급되는 시점에 다시 오를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모두가 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지금 이때 주택구매에 좀 더 신경을 써서 준비하게 되면 장차 상당한 투자의 효율성을 톡톡히 누리게 될 가능성이 크다. 서브프라임 사태 때도 싸게 주택을 구입해서 가장 좋은 타이밍으로 내 집을 마련한 홈오너들이 많이 있었다. 여하튼 각자에게 맞는 기회가 있다.
내 집 마련을 꿈꾸고 있는 바이어들은 필요한 서류들을 미리 잘 준비해 두었다가 기회가 왔을 때 꿈을 이루길 바란다. 요즘 많은 젊은 층에서 비싼 렌트비보다 집을 장만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으로 보고 내 집 마련을 준비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거의 모든 미국인은 내 집 장만이 부의 축적의 핵심 가치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내 집 장만의 가장 큰 걸림돌은 다운페이먼트의 부족이다. 질로우에 따르면 LA에서 밀레니얼 세대들이 60만 달러 가치의 첫 주택구매를 하기 위해 다운페이로 10만 달러가 필요한데 이를 모으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10년이라고 한다. 주택가치 상승도 문제다. 현재 수입 증가가 주택 상승분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에서 첫 주택 구매자들에게 10만 달러까지도 보조를 해줘서 주택가치 상승분의 격차를 메꿔주는 보조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재정 계획을 철저하게 세우고 준비하면 내 집 마련을 통한 재산증식의 아메리칸 드림은 반드시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여하튼 준비됐다면 이자가 다시 오르기 전에 다양한 정보들을 통하여 내 집 마련을 시작해 보는 것도 좋겠고 아직 준비가 안 되었다면 장기적으로 철저히 준비해서 기회가 왔을 때 내 집 마련의 최고의 시기를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 요즘 3%만 다운해도 모기지보험(PMI)이 없는 프로그램도 있고 10% 다운하면 1만 달러 그랜트에 이자율이 2.75% 등 은행마다 다양한 융자조건으로 첫 주택 구매자들을 돕는 프로그램들이 있다. 아울러, 정부보조금을 통한 내 집 마련 꿈의 실현을 도전해 보는 것도 좋겠다.
▶문의: (213)380-3700
'100년 미국' 산산조각 냈다, 트럼프 탄핵 위기는 자업자득
"집사님, 바로 당신 같은 사람이 '파시스트' 입니다"
바이든 행정부 경제정책 키워드는 '일자리 회복'
한인타운 업소에 대낮 권총강도…동일범 소행 범죄 신고 잇따라
'USA' 유니폼에 딱 걸렸다, 의회 난동 '금메달리스트'의 눈물
1400불 지급 시기 다음주에 윤곽…탄핵 절차에 따라 늦춰질 수도
"미국 민주주의 살아있다" 단합 외친다
트럼프 '새 행정부 성공 기원'…의사당 사태엔 '폭력 용납 안돼'
냉동트럭에 시신 보관…한인 장례업체 비상
트럼프 美 대통령 임기 마지막 날, 백악관엔 으스스한 정적만 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