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김정은의 '남조선 체험' 1순위는 KTX 탑승

"문 대통령 하도 요청해 간다했다"
측근 반대 불구 답방 굳힌 김정은

"태극기 부대 반대 괘념치 않아"
김여정 탔던 남한 KTX에 관심

대남 도발·위협에 싸늘해진 민심
억류 국민 석방 등 해법 찾아야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김정은 서울 답방과 관련한 대통령의 언급이 전례없이 구체적이다.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말을 아끼는 듯하면서도, 경호·의전을 위한 교통 통제에 국민들이 협조해야 한다는 주문을 내놓는다.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란 말도 나온다. 남북관계와 북한 비핵화는 '되는 것도 없고 안되는 것도 없는' 소강상태지만 답방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집중력은 한층 높아진 듯하다. 서울 방문 이벤트가 한반도 정세에 훈풍을 몰아줄 것이란 기대다. 하지만 녹록지 않은 상황이 지뢰밭처럼 곳곳에 자리하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약속한 연내 서울 답방을 위해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짚어봤다. "지난 9월 평양 공동선언에는 김정은의 서울 답방 약속이 담겼다. 맨 마지막인 6항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은 선언 발표 때 "가까운 시일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고 부연 설명을 했다. 현재로서는 서울 방문을 미루거나 취소할 '특별한 사정'을 찾기 어렵다. 남북 공동으로 북한 철도 등에 대한 실태조사가 진행 중이고,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 철수와 도로 연결 같은 군사 긴장완화 조치도 속속 이어진다. 북·미 고위급 회담이 연기되고 미국의 대북제재 지속 의지가 재확인되는 국면이지만 판을 헝클어트릴 정도는 아니란 얘기다.

정상 간의 만남 여부는 논리적 추론이나 예측이 쉽지 않다. 최고지도자의 의지가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절대권력을 거머쥔 북한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문재인 대통령이 "연내에 답방할지는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있다"(1일 G20 정상회담 기내 간담회)고 말한 것도 이런 측면에서다. 평양 정상회담을 현장에서 지켜본 우리측 민간 특별수행원 인사들은 김정은의 의중을 엿볼 수 있는 몇 가지 언급 내용을 귀띔하고 있다. 방송카메라에는 잡히지 않은 비공개 발언이다. 서울 답방을 공동선언에 명기한 것과 관련해 김정은은 "문 대통령이 하도 요청해서 간다 했는데, 우리 쪽은 온통 반대입니다"고 운을 뗀 뒤 결국엔 "갈 겁니다"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노동당과 군부의 고위 간부들이 김정은의 서울행을 반대하고 있지만 방문 쪽으로 마음을 굳혔다는 의미다.

서울 답방과 관련해 주목되는 건 김정은이 남한 방문을 적극 희망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는 점이다. 평양 정상회담 당시 이른바 '태극기 부대'(보수 성향의 단체나 시위대)의 반대 움직임이 제기되자 김 위원장은 "그건 괘념치 않는다"라고 답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여동생이자 최측근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을 지난 2월 평창 겨울올림픽에 전격 파견한 것도 김정은의 관심을 엿보게 한다. 북한은 '남조선=적구(敵區)'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이처럼 위험하다 여기는 지역에 피붙이를 보냈다는 건 그만큼 남한에 대한 관심이 컸다는 의미다. 남한의 실정을 파악해 있는 그대로 보고하라는 뜻도 담긴 듯하다. 김정은의 입맛에 맞는 정보만 올리려 노심초사하는 간부들과 달리 김여정은 자신이 체험한 내용을 가감 없이 담은 '남조선 리포트'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 가운데 김정은이 초고속열차인 KTX(Korea Train Express)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는 대목은 흥미롭다. 익명을 요구한 정상회담 특별수행원 인사는 "김정은 위원장이 KTX를 타고 싶어한다는 얘기를 북측 관계자로부터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김여정은 서울~평창 간을 KTX로 오가며 특사 일정을 치렀다. 여동생으로부터 한국의 KTX에 대해 보고받은 김 위원장은 "어떤 기술이 도입·적용됐고, 1㎞ 구간에 공사비가 얼마나 들어가는지 등 관련 정보를 꼼꼼히 챙겨달라"고 지시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김 위원장은 2015년 6월 평양 순안공항 리모델링 현장을 찾아 "평양과 공항 사이에 고속철을 건설하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부 당국자는 "10대 시절 스위스에서 유학하며 고속철인 TGV를 타고 파리 등지를 관광했던 경험이 작용하는 듯하다"고 풀이했다.



KTX에 대한 북한 측의 각별한 관심은 2002년 10월 경제시찰단의 서울 방문 때도 확인됐다. 당시 장성택 당 제1부부장과 박남기 국가계획위원장 등 일행은 KTX 경부선 구간에 올라 시속 300㎞를 돌파하자 일제히 손뼉을 치기도 했다. 동대문 쇼핑몰에선 "눈이 두 개밖에 없어 더 많이 볼 수 없는 게 안타깝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뿐이었다. 김대중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약속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끝내 지켜지지 않았다. 장성택은 조카인 김정은에 의해 '반역죄'로 처형됐고, 박남기는 김정은이 주도했던 화폐개혁의 실패 책임을 물어 공개총살 당했다. 개방파의 몰락이라고 불릴만하다.

김정은은 '서울에 오면 환영받을 것'이란 우리 측 인사들의 독려에 "남조선에서 환대받을 만큼 제가 해놓은 게 없어서…"라며 자세를 낮췄다고 한다. 모처럼 제대로 된 북한 최고지도자의 현실 인식을 보는 듯하다. 사실 김정은 체제는 집권 이후 지난해 말까지 6년 동안 브레이크 없는 폭주기관차와 같은 시기를 보냈다. 핵·미사일 위협에 비무장지대(DMZ) 목함지뢰 매설 같은 도발은 우리 국민들의 공분을 샀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자초했다. 무엇보다 김정은이 전면에 나서 '서울 핵 불바다' 발언을 쏟아내고, 대남 적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게 자충수였다. 개혁·개방 노선을 기대했던 우리 국민 여론은 싸늘하게 식었다. 지난 1년 동안의 유화제스처 보다는 앞서 6년간의 도발과 위협이 더 김정은 체제의 실체와 가깝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인 게 사실이다.

이제 김정은 앞에는 '서울 답방'이란 허들이 가로놓여 있다.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도 넘지 못한 장애물이다. 김정은 언급대로 '태극기' 시위대나 극소수 친북·찬양 세력은 본질적인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김정은의 서울 행보를 TV 생중계로 주시할 대다수 국민들의 여론 향배가 중요하다는 얘기다. 서울행에 앞서 5년 넘게 강제 억류 중인 김정욱 선교사 등 우리 국민 6명을 돌려보내는 건 꼭 이행했으면 한다. 자신의 입으로 쏟아낸 대남 위협 발언에 대해서도 적정 수준의 유감 표시가 필요하다. 북핵 문제에 대한 전향적 메시지도 준비하면 좋겠다. 그래야만 서울로 오는 노정이 열릴 수 있다. 비단길은 아니더라도 가시밭을 면할 수 있는 방안이다. 어물쩍 넘기려다간 '최고존엄'에 생채기가 날 수 있고, 우물쭈물하다간 게도 구럭도 다 놓칠 수 있다.

정부도 김정은 맞이에 최선을 다하고, 지켜야할 대북원칙과 국민 여론도 챙겼으면 한다. 문 대통령은 "모든 국민이 정말 쌍수로 환영해 줄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지만 대통령과 정부가 어떻게 하느냐는 더욱 중요하다. 김정은 답방이 또 한 번의 떠들썩한 이벤트가 아니라 비핵화와 개혁·개방을 향한 발걸음이 돼야 한다는 얘기다.


이 영 종 통일북한전문기자 겸 통일문화연구소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