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멕시코 대통령 페냐 니에토와 악수하는 미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
31일(현지시간) 니에토 대통령의 초청으로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를 전격 방문한 트럼프는 공동기자회견에서 두 사람이 장벽 문제를 논의하기는 했지만 비용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면서, "그건(비용문제) 나중에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의 무역과 이민 정책이 미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내 견해를 (니에토 대통령에게) 직설적으로 전했다"면서, 한 시간넘게 두 사람이 만남이 "굉장히(tremendous) 좋았다"고 말했다.
니에토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와) 모든 문제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각자의) 견해를 건설적으로 교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멕시코 간의 무역 현황을 언급하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양국 모두의 경제에 가져다주는 혜택을 강조했다.
AP,CNN, 워싱턴포스트 등은 트럼프가 니에토 대통령이 이 말을 하는 동안 굳은 표정을 지었다고 전했다. 자신의 발언 순서가 되자 트럼프는 "멕시코 국민들은 대단하다"고 언급한 다음 니에토 대통령을 '친구'로 불렀다. 하지만 그는 이내 " 미국내 일자리가 남부 국경넘어 (멕시코로) 엄청나게 빠져 나가는 것을 반드시 막아야 하며, NAFTA는 미국보다 멕시코에 더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준다"고 주장했다. 또 "불법 이주민과 마약거래꾼들을 막기 위해 (미국) 땅에 실체적 장애물 또는 벽을 세우는 것은 미국의 권리"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불법 이민 중단, 멕시코로부터의 마약 및 총기 유입 차단 등에 대해서도 니에토 대통령과 논의했다고 밝혔다.
CNN,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언론들은 통상적으로 정교한 사전 협상 및 절차를 거쳐 이뤄지는 '외교 행보'를 미국 대선후보가 취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며, 유세 기간동안 해외를 방문할 경우에는 전폭적인 지지와 환영을 받는 국가를 선택하는 것이 상식적인데, 트럼프의 이번 멕시코 방문은 매우 이례적이고 종잡기 어려운 그의 스타일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트럼프는 앞서 멕시코를 마약꾼, 강간범의 나라로 비하해 큰 파문을 일으켰고, 니에토 대통령은 트럼프를 히틀러와 무솔리니에 비유했었다.
한편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후보 측은 니에토 대통령이 클린턴의 방문도 요청했다면서 "그동안 우리는 멕시코 정부 관료들과 정규적으로 대화를 해왔으며, 적절한 시간에 니에토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파우치 마스크 발언, 한입으로 두소리 "쓰지 마라 vs 2개 써라"
백신 접종, 직종에서 나이순으로…50세 이상 먼저…뉴섬 "재조정 계획 검토"
'후궁 발언' 조수진 고소한 고민정 "참아 넘기지 않겠다"
시진핑, 문 대통령과 통화 “코로나 안정되면 조속히 방한”
한인 IRS 조사관 기소…신분도용·송금사기 등 혐의
상원 탄핵심판 준비착수…'퇴임대통령 탄핵은 위헌' 주장 기각
바이든 취임 6일 만에 이민정책 타격…법원 '추방유예' 제동
공익제보자 수사 동조한 박범계, 과거 ‘보호법’ 3차례 발의
바이든, 취임초 60% 전후 지지율 기록…'트럼프 때보다 높아'
'세대변화' 달라진 LA한인회 이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