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K-POP은 코리안 아메리칸에 주어진 ‘문화시민권’

청소년시절 겪은 ‘한국계’라는 부정적 정체성
케이팝 열풍 타고 이젠 ‘한국어 공부’로 반전
‘소수 문화권’ 한계 벗어나 ‘코리언 드림’ 희망

“내 아들은 자신의 세계에 대해 하나의 감각만을 가지고 성장하는 것이 내 희망이기도 했다. 하나의 목소리로 이루어진 삶, 그래야만 아이의 반은 노란색인 넓적한 얼굴로는 얻을 수 없는 권위와 자신감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소설 ‘네이티브 스피커(이창래 작)’에서 주인공 헨리 박은 백인 아내와 낳은 혼혈 아들이 정체성 혼란 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글학교에 보내지 않기로 한다.

한국에서는 ‘영원한 이방인’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된 이 책이 1995년 출간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 케이팝(K-POP)과 한류는 ‘코리안 아메리칸’(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버몬트주에서 성장한 입양인 레이엔 윌리엄스 씨가 태어나 처음 ‘한인’이라는 정체성에 대해 생각했던 계기는 “10살쯤 디즈니 월드에서”였다. 중국과 일본 문화 전시관이 멋지다는 생각이 들어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됐고, 부모님은 그에게 한복을 사입히고 만두와 잡채 요리를 배워 함께 먹었지만 얼마 못 가 시들해졌다.



“그때 이후로는 내가 한인이라는 것이 싫었다. 누군가 내 한국 이름이자 미들 네임인 ‘성희’를 부르면 화를 내기도 했다. 그냥 백인 친구들과 어울리기(fit in)를 원했다”는 게 윌리엄스 씨의 말이다.

그는 애틀랜타에서 대학을 졸업한 직후였던 2000년 한 시민단체 봉사자로 조지아주 도라빌에 전단지를 부착하러 갔다가 애틀랜타에 한인타운이 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한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게 된 계기는 ‘강남스타일’이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중국에서 왔니, 아니면 일본?’이라는 질문을 받는 게 싫었다”고 털어놓는다. “한국이 어디인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달라졌다. “케이팝과 한류 열풍이 불면서 이젠 한인이라는 사실이 ‘쿨’(Cool)한 것이 됐다”고 말했다. 윌리엄스 씨는 현재 매주 도라빌에서 모이는 한국어 학습그룹의 회장을 맡고 있다.

둘루스 한국문화원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39세 혼혈인 조 라니에리 씨는 “우리 집에서는 항상 김치 냄새가 나서 친구들을 데려오는 게 부끄러웠다”고 청소년 시절을 회상했다. 자신뿐만 아니라 “지금 30~40대의 한인 2세 대부분은 비슷한 경험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케이팝 덕분에 한인이라는 사실을 부끄러워하고 숨기려 하는 이야기는 점차 과거로 사라지고 있다. 미국의 ‘소수 문화권’에 머물러 있어야만 했던 한인 청소년들은 오늘 날 케이팝 열풍을 통해 ‘문화적 시민권’을 부여받은 것이다.

조지아주 스와니에 있는 피치트리리지 고등학교의 제니퍼 페로 부교장은 오리건주의 백인 가정에 입양되어 성장했고, 아시안이 거의 없었던 오리건의 작은 고등학교의 교장까지 지낸 후, 애틀랜타로 와서 한인들과 처음 교류할 기회가 있었다.

지난달 15일 이 학교에서 열린 대학입시 박람회인 ‘아시안 아메리칸 칼리지페어’에서는 인근 센트럴 포사이스 고등학교에 다니는 백인 여학생 2명이 케이팝 댄스 공연을 펼쳤다. 이들의 공연을 지켜보던 페로 교장은 “내가 어릴 적에는 백인이 되고 싶어 한인이라는 정체성을 부정하려고 애썼다. 하지만 이제는 백인 아이들이 한국 사람이 되고 싶어 하는 것 같다. 솔직히 좀 헷갈린다”며 웃음 지었다.

한인 2세 청소년들이나 댄스 공연을 펼친 백인 학생 모두에게 케이팝이라는 문화적 시민권이 언젠가는 ‘코리언 드림’으로 다가오길 기대한다.


조현범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