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과학 이야기] 공룡 멸종 소행성 충돌 현장에 2~3년만에 생명체 출현

생태계 회복 늦을 것이라는
추정과 달리 더 빨리 진행

공룡의 멸종을 가져온 6천500만년 전 소행성의 지구 충돌 현장은 폐허 그 자체였을 것이다. 공룡뿐만 아니라 지구 생물의 4분의 3을 사라지게 한 대충돌의 현장이라 생명체 회복은 다른 지역보다 늦고 그 기간도 수십만 년이 걸렸을 것으로 추정돼 왔지만 실제로는 놀라울 정도로 짧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텍사스대학 지구물리연구소의 크리스 로워리 박사 연구팀은 멕시코 유카탄 반도 '칙술루브 충돌구(Chicxulub Crater)'에서 시추를 통해 암석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대충돌 이후 2-3년 만에 조류(操類) 플랑크톤은 물론 작은 새우나 벌레까지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저널 '네이처'에 밝혔다.

조류나 플랑크톤은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화석인 미화석(微化石) 형태로 작은 새우를 비롯한 더 큰 유기체의 존재는 암석에서 발견된 굴의 흔적을 통해 파악됐다.

칙술루브 충돌구는 직경 180㎞ 깊이 20㎞에 달한다.



연구팀은 대충돌 이후 산사태와 쓰나미 등의 영향으로 바닷물에는 침전물이 가득했고 이 침전물이 몇 년에 걸쳐 가라앉으면서 형성된 한 지층에서 미화석을 발견했다.

로워리 박사는 "침전물의 양과 밀도 수심 등을 알고 있기 때문에 스토크스의 법칙으로 불리는 방정식을 이용해 지층이 형성된 시간을 계산해 낼 수 있다"면서 "우리는 이 지층이 몇 년 만에 형성된 것이란 점을 확신을 갖고 얘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또 대충돌 이후 3만년쯤 지나면서 충돌구에는 해저와 해수면의 다양한 유기체 먹이가 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풍부해져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