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아름다운 정원 가꾸기] (9) 정원수 구입과 심기

동네의 나무시장이 한창이다.
벌써 만개한 일년생 꽃들과 옥잠화(Hosta)의 싱그러운 잎사귀, 그리고 물이 오른 단풍나무들이 하루가 다르게 그 신록들을 더해 가고 있다.
집 앞이나 뒤뜰에 있는 정원을 둘러 보아 조금 허전하거나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때, 또는 이웃이나 도로에 주택이 너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시각적으로 좀 가려주었으면 하는 곳 등에 적합한 정원수를 직접 구입하여 심어 본다면 비용도 절약할 수 있고 한층 정원을 가꾸는 재미를 느껴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어떤나무를 심을 것인가
먼저 나무를 심을 위치를 잘 살펴보자. 나무를 심을 장소의 크기에 따라 수종을 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현재의 나무 크기를 생각하기 보다는 앞으로 5-10 년 후 나무가 충분히 자랐을 때의 그 크기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주택과 전면 도로의 사이 공간 처럼 나무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이 비교적 넓고 부분적으로 그늘이 필요로 하는 곳에는 낙엽성 수종으로 단풍나무(Maple), 튤립나무(Tulip Tree), 벗나무(Flowering Cherries), 참나무(Oak) 등이 적합하고, 상록성 수종으로는 전나무(Fir), 가문비나무(Spruce), 개잎갈나무(Cedar), 소나무(Pine), 주목(Yew Tree), 향나무(Juniper) 등도 좋다.

정원의 화단이나 큰 나무 아래에서는 주로 키가 작고 줄기가 여러 개로 자라는 관목류 (shrubs)를 심는데, 수종에 따라 형형색색의 꽃을 피우기도 하고 그 수형도 다양하므로 좋아하는 색상이나 집에 어울릴 만한 형태를 미리 생각해 둔다면 나무시장에서 적합한 수종을 고르기가 한층 쉬울 것이다.
나무를 심을 공간이 그늘이 많이 지는 곳인지 아니면 햇볕이 잘 드는 곳인지도 미리 파악해 두어서 그늘에서 잘 견디거나 좋아하는 나무를 구입할 것인지 아니면 햇볕을 좋아하는 나무를 심을 것인지도 잘 가려야 한다.

밴쿠버 지역에서 관목류로 많이 활용되는 수종으로는 홍단풍(Japanese Maple), 동백(Camellia), 라일락(Lilac), 말채나무(Dogwood), 팔손이나무(Fatsia), 수국(Hydrangea), 호랑가시나무(Holly), 목련(Magnolia), 로더댄드론(Rhododendron), 피어리스(Pieris) 등을 들 수 있다.

담장 아래나 울타리용 수종으로는 시더(Cedar) 종류로 에머럴드 그린(Emerald Green) 이나 피라미드(Pyramidal) 시더가 좋고 새로 나오는 잎이 붉은 색을 나타내는 포티니아(Potinia) 나 작고 붉은 열매가 달리는 코토네아스터(Cotoneaster), 피라칸사(Pyracantha) 등도 담장에 붙여 심기에 적합하다.
건물이나 담장 또는 그늘시렁을 타고 오르도록 하는데 적합한 덩굴성 식물(climbers)로는 클래마티스(Clamatis)나 아이비(Ivy), 인동(Honeysuckle), 등나무(Wisteria) 등이 적합하다.

어떻게 심은 것인가
일반적으로 나무시장(nursery)에서 판매되고 있는 정원수의 뿌리형태는 화분(container)에 심겨져 있는 것, 뿌리분(B & B, balled & burlaped) 으로 만들어진 것 또는 뿌리에 흙이 붙어져 있지 않아 뿌리가 완전히 노출되어 있는 것(bare-rooted plant) 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나무를 여름이나 겨울처럼 생육환경이 불량할 때 심는 경우에는 뿌리의 손상을 적게 주는 화분에 심겨진 나무(container-grown plants)가 좋고, 그 다음이 뿌리분으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

늦은 가을이나 이른 봄과 같이 나무를 옮겨심기에 적합한 환경에서는 정원수의 뿌리가 노출되어 있더라도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여 쉽게 뿌리를 내리게 된다.
나무를 심을 때에는 너무 깊게 심거나 얕게 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 이 두 경우 모두 뿌리의 발육을 저해하여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하도록 한다.

심기 전에 나무의 뿌리부문이나 화분에 심겨진 흙의 높이를 잘 살펴 보아서 원래 심겨진 높이에 맞추어 정원에서도 흙이 채워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정원수의 키가 2 m 이상 되는 교목성 수종은 지지대(stake)를 세워서 바람의 영향으로 넘어지거나 뿌리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야 하며, 2-3일에 한번씩 물을 충분히 주어서 새로운 땅에 정원수의 뿌리가 잘 내리도록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