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치과] 음식 씹을때 어금니 통증 겉으로 보기엔 이상 없어

저는 45 세 남성입니다. 얼마전 부터 음식을 씹을때 아래 어금니에 통증을 느꼈읍니다. 보통 때는 아무렇지도 않은데, 꼭 음식을 씹을때 많은 통증을 느낍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이가 아무렇지도 않읍니다. 왜 아픈지 궁금합니다.

음식을 씹을때 치아의 통증을 느끼는데는 몇가지 이유가 있읍니다. 첫째 충치에 의한 통증입니다.

둘째 풍치의 의해서 치아가 흔들리면서 오는 통증입니다. 그리고 세째 치아가 깨어졌을때 오는 통증입니다. 충치에의해 오는 통증은 음식이 충치 홈에 들어가면서, 음식이눌려서 치아에 통증을 줍니다. 풍치에 의한 통증은 치아 그 자체 보다도, 치아가 흔들리게 되면서 잇몸에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음식을 씹을때 치아가 흔들리면서, 씹히는 부분의 모든 치아들이 조금에서 부터 많이 잇몸에 통증을 줍니다.

그 다음은 치아가 깨어졌을 때 느끼는 통증입니다. 치아에 금(crack)이가거나, 깨어지면 치아가 맞물릴때, 혹은 음식을 씹을때, 치아에 많은 통증을 가저옵니다.

환자 분은 이경우가 아닌가 생각 합니다. 치아가 금이 가거나 깨어저 통증을 느끼는경우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신경치료를 하지않은 치아가 금이 가거나, 깨어지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치아에 상당한 통증을 줍니다. 신경치료 하지않은 치아가 금이 가거나 깨어지는 경우, 그통증이 지속 되기때문에 곧 바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두번째 신경 치료를 한 치아가 금이 가거나 깨어지는 경우입니다. 대부분 크라운(crown)을 씌우지 않은 치아에 많이 나타납니다.

신경치료한 치아가 잘 깨어지며, 금이 가는이유는 신경치료를 할때 치아속에 있는 신경과 핏줄을 모두 제거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치아가 우리 몸으로 부터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해서 치아가 약해져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신경 치료를 할때 치아의 구조를 많이 제거해 내면서, 치아구조 그자체를 약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신경치료한 치아에 크라운을 씌우지 않은 경우, 음식을 씹을때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이렇게 신경 치료를 하지않은 치아든, 신경치료를 한 치아든, 치아의 금이 가거나 깨어졌을 경우 대부분 치아를 발치해야 합니다.

치아에 금이가거나 깨어진 치아를 발치한후 치료 방법입니다.

첫째 발치만 하는 경우입니다. 발치후 치료를 받지 않는경우,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발치한 치아의 주위 치아들이 발치한 치아의 공간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그래서 발치한 주위 치아들이 기울어 지면서 치아들의 공간을 만들게 됩니다. 치아들에 작고 큰 공간이 치아와 치아 사이에 생기게 되면서 음식을 씹을때 불편을 느낍니다.

둘째 발치후 브릿지(bridge)를 만드는경우입니다. 발치한 치아 앞니와 뒷니를 지대치(abutment)로 하여, 브릿지를 만듭니다.

이 방법은 오래전 부터 사용해왔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사용될 것입니다.

세번째 임프랜트(implant)입니다. 임프랜트는 브릿지와 달리 주위 치아를 건들이지않고, 치아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금이 가거나 깨진 치아를 발치 한후 3∼4개월 기다립니다.

3∼4개월이 지나면 발치한 자리의 뼈가 완전히 아물게 됩니다. 그런 연후에 뼈에 임프랜트를 넣고 3∼4 개월 더 기다립니다.

그정도 기간이면 뼈가 임프랜트에 달라붙게(osteointergration)됩니다. 그런 다음 그위에 크라운을 만듭니다.


장재혁 <치과전문의>

문의: 718-229-3960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