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차량식별번호 읽는법]17개 번호로 차의 모든 정보 표시

“저도 주민등록번호가 있다고요.” 말을 못해서 그렇지 차도 태어날 때부터 주민등록번호를 갖고 있다.

차량식별번호(VIN·Vehicle Identification Number)가 그 것이다.

운전석 근처 대시보드 구석을 보면 이같은 차량식별번호가 꼭 있게 마련이다. 차량식별번호는 차에 관한한 가장 중요한 ID번호라고 할 수 있다. 차량번호판보다 더 중요하다.

그러나 차량식별번호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운전자는 많지 않다.

숫자와 알파벳이 번갈아 쓰여있는데다 최고 17자리에 이를 정도로 길기 때문이다. 자신의 차량번호판을 외우고는 있을 망정 이처럼 긴 숫자를 암기하는 차량 소유주들은 드물 것이다.

차량식별번호는 외울 필요는 없지만 한번쯤 점검 해볼 필요는 있다. 자신의 차량이 어떤 존재이며 어떤 취급을 받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다.

중고차를 구입하는 사람들이라면 한번쯤 차량식별번호를 눈여겨 봄으로써 위조나 도난 차량이 아닌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17자리의 맨 앞자리에는 숫자나 알파벳이 온다. 한국이 원산지인 차라면 K, 일본이라면 J 이런 식이다. 미국에서 차량이 제작됐다면 1이나 혹은 4, 5로 시작된다.

캐나다에서 만들어진 차는 2번이고, 멕시코에서 조립됐다면 3번이다. 한국의 주민등록번호에서 1로 시작되면 남자, 2로 시작되면 여자로 구분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2번째와 3번째 자리는 제조회사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폴크스왜건은 VW, 닛산은 N 이런 식이다.

4~8번째 자리에는 해당 차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들어있다. 보디 스타일, 엔진 크기, 엔진 타입 등에 관한 정보가 그 것이다. 예컨대 넷째짜리에 E라고 쓰여있다면 차량의 총무게가 3,001~4,000 파운드라는 뜻이다. M이라고 쓰여있으면 10.001~14,000 파운드 범위에 든다.

9번째 번호는 제조회사의 시큐리티 코드다. 차량식별번호가 위조된 것인지 여부가 이 번호로 판명될 수 있다. 또 10번째 자리에는 제조연도가 들어간다. X는 1999년, Y는 2000년 생산된 차량이라는 뜻이다. 2001년과 2002년은 각각 숫자 1, 2로 나타낸다.

11번째는 차량 제조 공장의 고유번호가 들어간다. 마지막 12~17번째 자리에는 차량 고유의 일련번호가 매겨진다. 차량 제조연도 등에는 알파벳 I, O, Q, U, Z 등을 쓰지 않는데 이는 숫자와 혼동을 우려해서다.

김창엽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