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의학 칼럼-구안와사

예담한의원 원장 정원조

얼굴의 신경이 마비되어 입과 눈이 한쪽으로 비뚤어지거나 쏠리는 경우를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라 하고 양방에서 안면신경마비라 한다.

구안와사는 일단 발병하면 마비된 쪽이 평활한 상태로 변하고 근육이 마비되어 표정이 변치 않으며 윗 눈꺼풀은 협소해지고 아랫 쪽은 쳐진다.
또 눈을 감을 수 없고 눈물이 저절로 나오는 경우도 있고 침이나 마신 물이 흘러나온다.
드물게는 언어 장애와 함께 무감각, 청각 장애 등이 나타난다.

안면마비는 마비증세가 나타나기 하루나 이틀 전에 귀 뒷부분이 아프면서 온다.
많은 경우 마비된 쪽으로 맛을 느끼는 감각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며 침이 마비된 쪽으로 흐른다.
또 코하고 입 쪽 주름살이 없어진다.

가벼운 안면신경마비는 대체로 치료가 잘되어 별 문제가 없는 반면 10~20%를 차지하는 심한 경우는 문제가 된다.
처음부터 안면신경마비가 심하게 오면 회복 확률이 떨어진다.

한의학에서는 이 같은 구안와사의 발병은 풍담(風痰)이 경락을 막아서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갑자기 찬 기운을 장시간 맞을 경우에도 발병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풍의 발병 후 그 후유증으로 발병하는 것도 있는데 임상에서 보면 찬 기운을 쏘여 발병한 구안와사의 경우 치료기간이 짧고 예후 또한 좋은 편이나 중풍 후유증으로 발병한 경우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물론 치료 또한 쉽지 않다.

한의학에서의 구안와사 치료는 침구요법 및 약물요법이 이용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약물요법으로 흔히 처방되는 약물은 ‘견정산’과 ‘청양탕’ ‘불환금단’ ‘이기거풍산’ ‘청담순기탕’ 등이다.

여하한 질병이 다 그러하지만 구안와사의 경우도 발병을 예방할 수 있는 평소 생활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추운 겨울철 신체의 보온 등에 유의해야 하며 여름철의 경우에도 에어컨 등을 장시간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또 중풍의 후유증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중풍의 예방을 위한 조력도 필요하다.
(예담한의원 원장, 847-342-1541)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