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 벨 그레이엄 여사의 일생] 남편 부흥회 50년간 '가정 헌신'
선교사 집안서 태어나 평양서 어린 시절
루스 벨 여사가 자신의 삶을 표현한 책.
루스 벨 그레이엄(Ruth Bell Graham.사진)은 미국장로교회가 파송한 의료선교사 넬슨 벨 부부의 둘째딸로 1920년 중국 상해근처에서 태어났다.
불과 11살때에 집을 떠나 평양외국어학교로 가서 1937년까지 6년동안 소녀 시절을 보냈는데 당시 동양에 주재하는 선교사들은 기숙사 시설를 완비한 최고 교육기관인 평양외국어학교로 자녀들을 보냈다.
루스 벨은 1940년 미국 시카고의 휘튼대학에 입학하여 복음의 비전과 정열에 찬 빌 그레이엄을 만나 3년후 결혼하게 됐다.
원래 일생을 독신으로 선교사업에 바치겠다던 그녀는 빌리 그레이엄을 만나서 "나는 슬그머니 그의 뒷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면서 결혼을 결심했다. 아마 빌리 그레이엄의 용모와 정열에 굴복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지난 50년 넘게 남편이 미국과 세계도처에서 부흥회를 인도하는 동안 그레이엄 여사는 집을 지키며 시 수필 전도문 등 30여권에 달하는 책을 저술하였으며 2남3녀의 힘겨운 양육에 헌신했다.
소녀시절 평양에서 외로운 유학시절 배양된 강한 독립정신이 가정을 이끌어가는 저력이 된 것이다.
그레이엄 여사는 1996년 가을 60년만에 평양을 방문하게 됐다.
어렸을 때부터 동경하던 금강산 구경을 위시하여 평양고아원 페렴요양원 등을 방문하고 평양의 봉수교회 주일예배에 참석하여 "하나님을 믿는자는 죽지않고 영생하리라"는 주제로 신앙간증도 서슴지 않았다.
현재는 루스 빌리 그래이엄 아동건강재단의 회장으로 활약하고있다.
그레이엄 여사의 인생을 되돌아볼 때 가장 현저한 공헌은 역시 5남매를 훌륭한 하나님의 일꾼으로 키웠다는 사실일 것이다.
이것은 비록 94 파운드 무게의 연약한 몸이지만 강철과 같은 의지력과 믿음으로 일생동안 가정을 위하여 희생한 귀한 결실이라 하겠다. 자녀들의 면모를 살펴보기로하자.
장녀 지지는 문서전도의 사역으로 7권의 책을 출판하고 현재 여성과 가정이 당면한 문제를 라디오와 TV을 통하여 상담하고 있다.
남편 치비지안 박사와 결혼하여 7남매와 11명의 후손을 두고 있으며 손자중 한 사람은 풀로리다 남부에서 장로교회의 목사로 시무하고있다.
차녀 앤은 성경을 가르치는 은사를 받고 성경연구 학회를 창립하였으며 웅변술이 뛰어나 세계 각처에서 연사로 활약하고 있다. 남편 롯즈와 세 자녀를 두고 있으며 빌리 그레이엄 부흥협회의 이사로도 일하고 있다. 3권의 책을 출판한 바있다.
3녀 루스는 사회적응이 부족하여 18세때 결혼한 남편과 이혼하고 강박증에 시달리는 청년기를 극복해야 했다.
40세 나이에 대학교 학생으로 재출발하였으며 맥킨타이어와 재혼하여 4자녀를 두고있다. 현재 이혼 여성들을 상대로 하는 전도사역에 헌신하고 있다.
네째는 장남 푸랭크로 소년 시절에는 긴머리에 담배를 즐기며 밤늦게 귀가하는 등 반항아였지만 20대에는 각성하여 경영학으로 대학을 마치고 1981년에는 안수목사가 됐다. 1995년부터는 아버지의 후계자로 세계 각처에서 부흥회를 주도하고 있다. 4자녀와 1손자를 두고있다.
차남 네드는 소년 시절부터 술과 마약복용 등으로 하나님의 소명을 거역했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러나 부모님들의 간곡한 기도와 지도로 대학을 마치고 씨애틀의 풀러신학교 분교에 등록하면서 반항아의 시련을 극복했다. 1990년부터 중국에 성경책을 보급하는 선교 사역에 봉사하고 있다.
5남매는 모두 2류와 3류 대학출신이며 대단한 지식인도 아니고 재산과 권력 도 없지만 하나님이 주신 은사에따라 각자 전도사업에 진력하고 있다.
비록 이 세상에서는 부족하고 특출하지못하지만 저 나라에서는 예수님으로부터 인정받는 귀한 하나님의 자녀인것이다.
한국교회 지도자들 가정에서도 빌리 그레이엄의 가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탕하고 반항적인 자녀의 문제로 고민하는 사례가 없지 않지만 우리들은 그들을 비방할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들의 자녀교육의 문제를 성찰해야할 것이다.
얼핏보기에 단란하고 성공적인 가정으로 보이지만 내면에는 약점과 범죄 갈등과 슬픔이 어느 가정에나 존재한다는 사실과 이러한 시련을 통하여 행하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깨닫는 과정을 배워야 할것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