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칼럼]중동 문제와 이슬람교6
이슬람의 중요 교리이미 지적한 대로 주 후 610년 아라비아 상인 모하메드(Mohammed)이 꿈에서 ‘알라’(Allah) 신의 천사(사자)를 통해 받았다는 ‘계시’로 그는 스스로 알라 신의 최고 최후의 예언자로 자칭했고 또한 이슬람교의 교조가 된 내용을 보았다.
그가 632년 죽기까지 받았다는 ‘메칸’과 ‘메디나’를 합한 114장의 내용의 책이 모슬렘교의 경전인 ‘코란’(Qu’ran=Koran: 읽는다, 암송한다는 뜻)이며 그 중요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지적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코란은 교조 모하메드가이 죽은 후 그의 동료들이 정리한 결집이며, 그 내용은 여섯 가지 신조로: 즉, 1) 코란 (Koran); 2) 알라(Allah)신; 3) 그의 예언자들(Prophets); 4) 천사(Angles); 5) 신의 뜻(Kismet: Predestination); 6) 심판(The Day of Judgment) 이며, 그리고 이슬람의 신앙행위로는 다섯 가지 기둥(the Five Pillars of Islam) 이 있다: 즉, 1) 신앙고백(Confessing the Faith); 2) 기도(Prayers); 3) 금식(the Fast); 4) 구제(Giving alms); 5) 성지순례(Making the pilgrimage to Mecca) 등 이다.
1) 알라(Allah) 신:
이슬람(Islam)은 모슬림(Muslim), 모하메드교(Mohammedism), 회교 혹은 회회교, 청진교 등 여러 가지로 호칭 되고 있다.
중동 중심의 이 하나의 큰 세계종교를 알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그들이 믿는 ‘알라’ 신에 대한 교리를 잘 이해해야 한다. 모든 종교는 그 종교를 따르는 신자들이 믿는 믿음의 대상이 있는데 이슬람의 신안대상은 ‘알라’ 신이다.
한마디로 ‘알라’(Allah) 신은 유대교의 5경이나 기독교의 성경에 나타난 ‘엘로힘, 그리고 여호와(Yahweh,=Adonai,주님), 압(아버지)’ 하나님과 매우 유사한 내용과 속성(=성품)으로 묘사하고 또한 표현하고 있으나 살아 역사하시는 계시성이나 역사성, 그리고 연속성과 통일성 등은 매우 희박하다.
그리고 기독교의 3위1체(=성부,성자,성령) 신론과는 크게 배척되는 점이다. 알라 신의 속성은 다신론에 대한 단일신(=유일신)을 강조하며, 성경에서 읽을 수 있는 신의 창조, 전지와 전능, 자비와 정의, 뜻과 지혜, 심판 주, 그리고 그 위엄 등인데 그 내용은 신도들의 도덕성과 윤리를 일깨우면서 동시에 신자의 신앙의무를 율법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알라 신은 성경에 계시하신 ‘여호와’하나님과 같은 ‘자존자’이신 오직 한 분이신 하나님(the Only One God)이라는 이해보다는 오히려 한글에서 말하는 ‘하느님’ 혹은 영어의 ‘신’(a god) 이라 부른 보통명사이며, 코란 경 속에 나타난 ‘알라’ 신은 ‘나’ 혹은 ‘우리’ 라고 지칭하는 점이다.
한편 아라비아어로 쓰인 코란의 문구는 많은 사원의 벽, 담, 아치들의 장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이슬람 교도들에게 신앙의식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한마디로 교조 모하메드는 메카의 다신교적인 부족종교 배경이 있었으나 그의 포교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유일신을 주창했다.
그로 인해 많은 박해를 받았고 한 때 그리스도교가 국교인 이디오피아로 피신하기도 했다. 이슬람 교도들이 출생부터 평생 듣는 말 중에“라 일라하 일랄라(la ilaha illallah=알라 신(하느님) 외에는 다른 하느님은 없다)” 라는 소리와 고백이다. 그리고 “나 만을 경배하라, 인간이 알라 신을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우상숭배는 용서 받지 못하는 죄다” 라고 고백한다. (4:116, 20:14, 42:51). 자존자 하나님과 사람이 정한 하느님은 같을 수 없다.
캐나다 밴쿠버 중앙일보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