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남성 정장' 튀면 망친다…거부감 없는 정통 코디법

구두·벨트색, 브라운·블랙중 하나 선택, 버튼 꼭 채우는 등 '원칙' 지켜야 멋나

남성 정장인 수트를 입는데는 나름대로 지켜야 할 기본과 원칙이 있다. 예를 들어 정장 속에 반소매 셔츠를 받쳐입는다거나 수트 차림에 끈이 없는 로퍼를 착용하는 것은 아무리 개개인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요즘이라지만 남들로부터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코디일뿐 아니라 정장의 스타일도 제대로 살아나지 않는다.

남성 정장은 원칙을 지켜야 멋 있다.

남성 정장은 원칙을 지켜야 멋 있다.

최근 한국의 신사복 브랜드가 갤럭시가 발간한 책 '더 클래식 테이스트'를 통해 정장을 제대로 입는 법을 알아봤다.

▷수트에 반 소매 셔츠나 터틀넥은 금물= 수트에는 긴 소매 드레스셔츠(일명 와이셔츠)를 입어야 한다. 반 소매 셔츠는 캐주얼에만 존재하는 것이다. 수트 속에 터틀넥을 입는 것도 안된다. 터틀넥은 아무리 고상해 보인다 하더라도 재킷과 함께 입는 캐주얼한 옷이다. 드레스셔츠는 따로 입는 겉옷이라기 보다는 수트와 반드시 함께 입는 속옷 개념의 옷이다. 따라서 그 안에 러닝셔츠를 입는 것은 두 개의 속옷을 겹쳐 입는 것과 같다. 셔츠 소매는 약 1.5㎝ 정도 재킷 소매 밖으로 나오게 입는다. 바꿔 말하면 재킷의 소매가 지나치게 길면 안된다는 얘기다.

▷수트 버튼은 잠가라= 앉아 있을 때가 아니라면 어떤 자세에서건 수트 버튼은 항상 잠겨 있어야 한다. 2버튼 수트는 윗단추를 3버튼 수트는 가운데 단추를 잠가야 한다. 더블 브레스티드 수트에는 조끼를 입지 않는다. 재킷 앞여밈이 겹쳐져 조끼가 가려지기 때문이다. 바지는 자연스러운 허리 위치 또는 배꼽 바로 밑에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야 가랑이와 허벅지에 여유가 생기고 천이 자연스럽게 늘어지기 때문이다.

▷넥타이 길이는 벨트 버클 가운데까지= 넥타이 끝은 절대로 벨트보다 길게 내려와서는 안된다. 벨트를 했을 경우 버클 가운데까지 서스펜더를 했을 경우 바지 허리 부분까지 늘어져야 한다. 수트엔 또한 반드시 벨트를 매야 한다. 벨트 색깔은 블랙 아니면 브라운이어야 한다. 가능하면 구두와 벨트의 색을 맞추는 것이 좋다.

▷수트에는 끈 달린 옥스퍼드 구두가 정석= 정통 수트를 입을 경우 반드시 끈이 달려 있는 옥스퍼드 구두를 신어야 한다. 로퍼는 수트와 절대 어울리지 않는다. 짙은 네이비나 그레이 수트에는 브라운이나 블랙 구두를 신어야 하며 브라운 톤의 수트에는 반드시 브라운 구두를 신어야 한다. 맞추기 까다로운 색상의 수트에는 브라운 구두가 안전하다. 또한 바지길이는 바지단이 구두등을 살짝 덮는 정도가 적당하다. 마지막으로 수트는 입는 사람이 골라야 한다. 수트는 철저하게 남성을 위한 옷이다. 여성에게서 조언을 받는 것은 좋지만 남성인 본인이 직접 고르는 것이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

▶ 나라마다 다른 양복

남성 수트는 크게 영국과 미국, 그리고 이탈리아 스타일로 나뉜다.
먼저 런던의 신사복 맞춤 거리인 새빌로에서 유래했다는 영국 스타일은 신사복의 정통으로 일컬어진다. 대표적 특징은 더블 버튼으로 불리는 더블 브레스티드(왼쪽 옷자락이 오른쪽 옷자락을 덮는 스타일)와 재킷 뒷부분에 두 줄의 트임이 있는 사이드 벤트. 사이드 벤트는 폴로 경기를 편하게 할 수 있기 위해 생겨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임이 하나인 싱글 벤트에 비해 의자에 앉을 때도 엉덩이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도 한다. 또 바지는 허리선이 높고 지퍼 양쪽에 2~3개의 주름이 잡혀 있다.

한국인에겐 이태리식 적당

미국 스타일은 실용성을 앞세우고 있다. ‘아이비리그 수트’ 또는 ‘색 수트(Sack suit)’라고 불리는데 어깨 패드가 아예 없거나 얇아서 자연스러운 어깨 라인을 보여준다. 싱글 브레스티드의 재킷에 트임은 하나인 싱글 벤트다. 싱글 벤트는 트임이 없는 노 벤트에 비해 바지 주머니에 손을 넣을 때 재킷 전체가 들썩이는 것을 막아준다. 바지는 영국 스타일과 달리 주름이 없는 노턱 스타일이다. 단정하면서도 편해 대표적인 비즈니스 수트로 자리 잡았다.
요즘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이탈리아 스타일은 영국이나 미국 스타일의 장점만 합쳐놓은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이탈리아 신사복은 영국이나 프랑스 업체들의 하청 생산으로 시작된 것이기 때문이다. 앞 단추의 위치와 암홀(소매가 재킷 몸통에 연결되는 부분)이 약간 높고 허리 부분이 잘록한 것이 대표적인 이탈리아 스타일. 키가 크지 않은 이탈리아인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 비슷한 체형의 한국인에게도 잘 어울리는 편이다. 몸에 딱 맞게 한 듯한 새로운 패턴이 가장 많이 개발되는 곳도 이탈리아다.
그렇지만 최근에는 국가별 정장 스타일의 경계는 무너지는 추세이다. 이보다는 브랜드 또는 디자이너에 따라 스타일이 구별되고 있고, 특정 국가 스타일이라고 단정짓기 힘든 혁신적인 스타일의 정장도 다수 선보이고 있다.

박수현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