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물' 생리활성 기능물질 콩보다 많아, 꼬리 떼지말고 전부 먹어야
자라면서 비타민·섬유소 크게 증가
두부 콩나물 잡채
콩나물의 강력한 힘은 발아 과정에서 자체 대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영양성분이 상당히 변하게 된다. 콩나물 생장 과정 중 지방은 현저히 감소하는 한편 섬유소는 증가하고 또한 비타민류는 크게 증가한게된다.
◇ 콩나물의 자랑 아스파라긴산
콩나물에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아스파라긴산이 있어 알코올 분해를 돕는다. 콩나물이 해장국 재료의 대명사로 대접 받는 이유가 바로 아스파라긴산 때문이다. 약리적으로 보면 알코올의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한다. 또 아미노산의 일종이기 때문에 국물의 담백한 맛을 돕는다.
콩나물에는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많고 비타민 B1 B2 C등의 함량도 높다. 콩나물 무침 한 접시(약 200g)에는 어른이 하루에 필요한 비타민C의 반 정도가 들어있다.
새싹이 난 후 5~6일 동안은 비타민 함량이 늘어나고 그 후부터는 줄어든다. 그리고 가열 시간이 길어도 영양소가 파괴된다.
따라서 콩나물은 길러서 빨리 먹어야 하고 너무 익혀 먹지 않는 것이 좋다.
◇ 콩보다 기능성분 더많다
콩의 발아형태인 콩나물에서 아이소플라본과 아미노산 함량이 더 많다.
콩나물의 아미노산 함량은 머리부위 몸통 뿌리에서 각각 616.10 390.54 278.89㎎으로 콩나물 머리부위에서 현저히 증가하며 결국 콩보다 콩나물에서 높은 함량을 보인다.
콩은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 및 우수한 영양성분 외에도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다. 콩에 함유된 아이소플라본은 여성들의 갱년기장애를 줄이고 호르몬과 관련된 유방암 골다공증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밝혀졌다.
콩나물의 머리와 잔뿌리를 제거하지 말고 모든 부위의 고른 섭취가 권장되는 이유다.
◇ 꼬리에는 아트파트산
콩나물국의 숙취를 제거 기능은 생화학적으로도 입증됐다. 여기에는 아스파라긴산 외에 아트파트산이 있다.
아스파트산이 몸에 흡수되어 간에 도착하면 알코올을 분해하는 조효소의 생성을 도와주어 간을 보호하게 된다는 것. 이런 기능을 하는 아트파트산이 콩나물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70%나 된다.
특히 아트파트산이 꼬리부분에 많기 때문에 꼬리를 떼지 말고 조리하는 것이 좋다.
◇ 콩나물국 비린내 잡기
콩나물 비린내는 콩 성분중 립옥시제나제라는 물질이 불포화지방산 산화과정에 관여함으로서 유발된다고 알려져있다. 따라서 콩나물을 끓일때 중간에 뚜껑을 열면 립옥시제나제가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과정을 돕게 돼 비린내가 난다.
그러나 최근 요리 전문가들에 따르면 마늘과 소금을 조금 넣고 삶으면 뚜껑을 열어도 비린내가 나지 않을뿐만 아니라 맛과 향도 좋아진다고 조언한다.
▶ 맛난 콩나물 요리 2제
◇ 콩나물 김치국
.주재료: 새콤하게 익은 김치 대파 어묵 콩나물
1. 콩나물 마늘 물을 넣고 뚜껑을 닫아 콩나물을 삶는다.
2. 잘 익은 배추김치 배추김치 국물 오뎅을 넣고 끊이다가 굵은 소금으로 간 한후 대파를 넣어준다.
팁: 멸치를 넣고 멸치 국물을 우려낸후 끊이면 더욱 시원하고 맛있다.
◇ 두부 콩나물 잡채
.주재료: 두부 반모 콩나물200g 실파10g 양파1/2개 당근15g 햄50g 버섯30g
.부재료: 간장1티스푼(Ts) 굴소스1Ts(혹은간장) 설탕2/3Ts 술1Ts 마늘1Ts 깨소금1Ts 후추약간 참기름 약간
1. 두부는 잘라서 소금 뿌려준다.
2. 콩나물은 머리를 떼고 냄비에 삶는다.
3. 채소는 검지 길이로 자른다.
4. 두부는 프라이팬에 노릇하게 굽는다.
5. 두부가 식으면 길게 썰어준다.
6. 야채를 볶으면서 소금으로 간한다.
7. 양념장은 미리 섞어서 준비.
8. 재료들을 다넣고 손으로 무친다.
팁:콩나물은 센불에서 10분 정도만 삶는다.
천문권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