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중앙 상담-동물] 고양이 귀에서 진물이 나와요

문: 우리집 고양이가 귀가 가려운지 머리를 흔들거나 앞발로 마구 긁곤 했는데 점점 그 증상이 심해져 귀에서 냄새도 나고 분비물도 흐릅니다.

답: 개는 박테리아나 이스트(효모)에 의해 귀 감염이 빈번하지만 고양이는 귀 진드기 때문에 일어나는 외이염(Otiatis externa)에 걸리기 쉽습니다.

귀 진드기가 감염되면 외이도가 아주 민감해지고 가려우며 간혹 통증이 옵니다. 고양이는 극심한 가려움증을 견디기 위해 머리를 흔들고 귀를 긁습니다. 그러면 외이도에 발적과 염증이 생기며 냄새가 심한 악취가 점점 심해집니다. 외이도 안에 거무스름하고 누런색의 분비물이 생기고 검고 갈색 딱지가 귀 엉덩이부위 꼬리 부위에 나타나며 피부가 벗겨집니다. 즉 전신에 가려움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 귀 진드기의 감염은 일반적으로 어린 새끼 고양이에게 나타납니다. 가끔은 귀 진드기가 박테리아나 이스트를 2차적으로 감염시키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박테리아나 이스트가 감염되는 상태까지 이르러서야 동물병원에 데리고 가지만 그 시점에선 귀진드기는 없앨 수가 없습니다.

귀 감염증에 걸리면 고막(Eardrum)엔 문제가 없는지 외이도에 종양이나 이물질이 있는지 검사하는 게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고막이 찢어진 상태에서 어떤 약제를 외이도에 투여하면 청력이 손상되어 회복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나 이물질이 있는 경우 약제는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외이도 내에 붙어 있는 것을 면봉으로 닦아내어 염색을 해서 현미경으로 세포검사를 하거나 배양을 하거나 피부 스크래핑 등을 통해 귀 진드기 감염여부를 확인합니다.

귀의 통증이 아주 심한 경우 또는 외이도에 이물질이나 귀지와 분비물이 아주 심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진정제 및 전신마취를 시켜야 합니다.

염증 등으로 외이도의 벽이 부어 일시적으로 막힌 경우 적절한 약제 투여로 회복이 가능합니다만 간혹 완전히 막혀 약제투여로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수술로 외이도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로테논-베이스드 프로덕트(Rotenone-based products) 이버멕틴(Ivermectin) 아미트라즈(Amitraz) 등의 약재를 투약한 후 1개월 후 다시 귀 검사를 실시해 치료 여부를 확인합니다.

약제를 투여할 때 주의사항입니다. 첫째 두 귀를 부드럽게 위로 치켜 올려 한손으로 잡습니다. 둘째 귀끝을 위로 치켜올린 상태에서 외이도를 수직으로 한뒤 약제를 적당량을 넣어주고 약제가 흘러 내려가도록 기다립니다. 흐름이 느린 연고의 경우 깊이 넣어 짜줍니다. 셋째 검지손가락을 외이도 안에 넣고 엄지손가락으로 귀바깥쪽을 감싸잡고 부드럽게 비벼주어 약제가 귀 밑에 까지 골고루 도포되도록 비빕니다. 외부에 묻은 약제를 면볼을 사용하여 닦아 줍니다.

단 증상에 따른 정확한 연고를 선택해야 합니다. 이스트와 곰팡이가 복합적으로 감염되었는데 박테이아 감염에 사용하는 항생제를 사용하면 도리어 곰팡이와 이스트의 증식을 촉진시키게 됩니다. www.bokdoli.com

201-814-0095.


김정환/ 릿지필드파크 동물병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