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목회 칼럼] 찬송가·복음성가·CCM의 차이

정세광 목사 필그림선교회 디렉터

필자가 신학대학교에서 "찬양과 경배" 과목을 가르치면서 학생들로부터 받는 가장 많은 질문은 찬송가와 복음성가 그리고 CCM의 차이점과 예배에서의 사용범위이다. 70~80년대 한국교회에서는 예배 때 복음성가의 사용을 놓고 찬반의 논쟁이 뜨거웠다. 90년대에 들어와서는 서서히 경배와 찬양의 물결이 한국교회를 덮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더 이상의 소모적인 복음성가의 논쟁은 줄어 들었다. 대신 어떻게 하면 경배와 찬양(복음성가)을 예배에 잘 접목하여 이젠 어엿한 성인으로 성장한 경배와 찬양의 세대들과 함께 가슴 벅찬 감동의 예배를 드릴 수 있을 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금도 교회 안에는 서로 다른 세대와 신앙의 연륜 그리고 보수 혁신 등으로 의견을 달리하는 그룹들의 의견대립이 있는데 그 중심에 예배에 복음성가의 사용이 여전히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으므로 이번 칼럼에는 이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한다.

이사야 43:21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라" 이 말씀 속에는 하나님이 인간을 지으신 목적이 우리로 하여금 찬양을 받으시기 위함임을 잘 알려주고 있다. 성경에는 찬송 찬양 찬미라는 단어가 400회 정도 나온다. 여기에서 정확한 숫자가 아닌 400회 정도라는 것은 히브리어로 할랄 야다 바락 테힐라 자마르 샤바흐 등과 헬라어에서 아이네스 독사 에파이노스 율로겔토스 엘소몰로 게오 훔네오 메갈루노 프쌀로 등도 찬양의 뜻으로 쓰임으로 정확한 집계가 어려운 것이다.

아무튼 찬양이라는 단어 앞에는 대부분 "하나님을…. 하나님께… 여호와를… 여호와께…"라고 적혀있다. 이것은 찬송의 대상이 오직 하나님 한 분 이심을 증거하고 있다. 문제는 찬송가와 복음성가의 바른 이해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 '어떻게' 구분하여 사용하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 예배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께 가장 합당한 찬양을 하고 영광을 올려드리기 위함이다. 찬송가나 복음성가는 그 목적과 본질에 맞게 사용되어야하고 바르게 불러져야 한다(예배찬양 집회찬양 친교찬양의 구분).



찬송가(Hymns): 찬송을 받는 대상이 하나님이거나 그 삼위 중 일위라고 하고 인간이 하나님께 관하여 하나님께 아뢰는 노래이다. 대개의 경우 후렴 없이 불러지며 아멘 코드를 꼭 붙이고 찬송가의 앞부분(100장 이내)에 편집돼 있다.

복음찬송가(Gospel Hymns): 하나님을 찬송하되 직접적으로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섭리 구원의 역사 수단과 방법 십자가 하나님의 창조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이며 아멘 코드는 붙이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찬송가 보다는 복음성가 쪽에 더 가깝다).

복음성가(Gospel Song):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구원 받은 성도들이 그의 간증을 노래하거나 성도들 또는 불신자에게 교훈이나 권면 그리고 위로 등을 담아 쉽게 전하는 노래이며 부흥집회나 전도용으로 사용하며 아멘 코드를 붙이지 않는다. 위의 찬송가나 복음찬송가처럼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상향의 노래가 아니라 옆으로 전해지는 경향의 성격을 띠고 있다.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현대 대중음악풍의 연주(Contemporary)에 하나님 혹은 예수님 성경 복음 등에 대한 찬양의 가사를 붙여서 부르는 음악을 통칭하는 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