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MD-PhD 성공 사례] 제퍼슨 의대 전액 장학생 최효원씨

유학 5년만에 MD-PhD 프로그램 합격
대학 3개의 연구프로젝트 큰 가산점

“한국에서 고2 1학기를 마치고 유학길에 올랐죠.늦게 시작한 고교생활, 대학진학에 고민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카운슬러의 조언에 따라 마운트 홀요크 칼리지(매사추세츠)에 진학했어요. 진작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유전학 연구부문에서 괄목할만한 평가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유학생활 5년 여 만에 전액 장학금이 제공되는 MD-PhD프로그램에 합격한 최효원씨는 일찌감치 자신의 진로를 결정한 것이 높은 의대문을 통과할 수 있었던 비결인 것 같다고 말한다.

대학 2학년을 마친 여름방학부터 MCAT시험 준비에 돌입했고 4월과 6월 두차례 응시 34점의 높은 점수를 얻어냈다.

웬만한 책 분량의 두꺼운 지원서 작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되도록 일찍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최씨의 설명이다. 대개 의대 지원서는 입학연도를 기준으로 1년 전 6월부터 접수하는데 최씨는 에세이까지 마치고 난 후 7월에 접수했다.

의대지원서는 모든 대학들이 일률적으로 접수하는 1차 지원서(Primary)와 2차 지원서(secondary)로 분류되는데 대학별 지원서에는 에세이 질문이 각양각색이기 때문에 미리 지원대학들을 결정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에세이 토픽을 알아보는 것도 지원서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는 요령.

의도했던대로 4년 간 3개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었느데 그중에서도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유전학 연구 및 3학년 여름 줄기세포 연구 등에 대한 연구논문발표가 의대입학심사에서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최씨는 분석했다.

"의학에 오래전부터 관심이 있었지만 직접 환자를 대하는 것 보다는 유전자 연구를 통한 질병연구에 더 관심이 쏠리기 때문에 MD-PhD 프로그램이 맞는다고 판단했지요. 그 때부터 전국의료인협회(AMA)에서 발표한 의대가이드에서 MD-PhD프로그램이 있는 대학들만 찾아 웹사이트 등을 통해 리서치하기 시작했지요."

일단 시작하면 평균 8년은 소요되는 장기 프로그램이지만 평소 공부하고 싶었던 분야에서 학비부담없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게 됐다는 사실이 꿈만 같다는 최씨는 유학생이라는 신분에도 관계없이 뜻이 있는 이들에게 기회의 문을 활짝 열어주는 미국 교육 시스템의 최대 수혜자가 된 느낌이라고 말한다.

김소영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