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소화 안될 때 한 잔 어때? … 막걸리 건강 손익계산서

주제료 '누룩'은 한약재 … 항암 · 다이어트 술 연구도
포도주처럼 깊이있는 연구 아직 안돼
음주뒤 숙취 문제 … 신장 결석 원인도

막걸리 열풍이 예사롭지 않다. 올 1월~9월 막걸리 수출량은 4380t이며 금액은 356만2000 달러에 달했다(관세청).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양으로는 24% 금액으론 23% 늘어난 수치다.

올해 수출된 막걸리의 87%는 일본으로 갔다. 한류 열풍과 함께 발효주인 막걸리가 건강에 유익하다는 입소문이 퍼져서다. 지난달 23일 미국의 뉴스전문채널인 CNN은 막걸리를 집중 소개했다. 막걸리가 '재기'(a strong comeback)를 노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막걸리의 건강 손익계산서를 살펴보자.

◇소주.위스키보다 열량 훨씬 낮아

막걸리는 곡주(穀酒)이자 탁주(濁酒)다. 쌀이 주재료여서 곡주이고 탁하게 빚어서 탁주다. 밥에다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체로 대충 걸러서 텁텁하게 만들었다. 쌀(쌀막걸리) 외에 찹쌀(찹쌀막걸리).옥수수(옥수수막걸리).조(조막걸리) 등 다양한 곡류로 만들 수 있다.

밥풀이 그대로 떠 있는 동동주도 막걸리의 한 종류다. 영양도 풍부하다.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단백질.탄수화물.비타민.미네랄과 생리활성물질.생효모가 만들어져서다.

신라대 식품영양학과 김미향 교수는 "막걸리의 단백질 함량은 그리 높지 않지만(100mL당 1.9g) 단백질의 질(단백가)이 좋다"며 "쌀 단백질의 단백가는 콩 단백질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열량은 그리 높지 않다. 100mL당 46㎉로 콜라.사이다(40㎉)나 맥주(37㎉) 수준이다.

같은 양의 포도주(70~74㎉).소주(141㎉).위스키(250㎉)보다 훨씬 낮다. 막걸리를 다이어트 술로 여기는 사람도 있다.

◇음주 뒤 숙취가 문제…발효과정서 생겨

막걸리의 알코올 도수는 6~7%다. 한국인에게 인기 높은 5대 술 가운데 맥주(4.5%)보다는 약간 높지만 포도주(12%).소주(25%).위스키(43%)보다는 낮다. 일반적인 독주의 기준(알코올 20% 이상)에서 크게 벗어나는 순한 술이다. 그러나 음주 뒤 숙취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이 막걸리 세계화의 최대 장애물이다.

영남대 식품가공학과 이종기 교수는 "막걸리.포도주 등 곡주.과실주는 소주.위스키 등 희석주.증류주에 비해 숙취가 상대적으로 심하다"며 "발효 균주에 잡균이 섞여 있을 수 있으며 발효할 때 숙취 성분이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포도주=건강주'처럼 깊이 있는 연구 필요

막걸리는 김치.청국장.된장.고추장.간장.젓갈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 발효식품이자 슬로푸드다.

그러나 웰빙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신라대 식품영양학과 배송자 교수는 막걸리의 암세포 성장억제.혈압 강하.항산화(유해산소 제거) 효과 등을 밝혀냈다. 또 김미향 교수는 막걸리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간기능 개선에 유익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아직 초기 연구단계다. 막걸리의 간기능 개선 효과를 밝힌 연구의 경우 막걸리에서 알코올을 뺀 뒤 이를 갱년기 여성에게 제공한 결과다.

따라서 '막걸리=항암술 또는 콜레스테롤 저감주' 등으로 등식화하기엔 무리가 따른다. 김미향 교수는 "막걸리의 단백질 성분인 펩타이드와 당지질"을 이종기 교수는 "생막걸리에 함유된 유산균"을 막걸리의 건강 성분으로 추정했다. 유산균은 열처리한 막걸리엔 없다. 배송자 교수는 막걸리에 든 물질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해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결석 있는 사람은 과음하면 안 돼

막걸리도 과음은 득보다 실이 많다. 하루에 남성은 360mL 여성은 180mL 이하 마시는 것이 적당하다(김미향 교수). 소주.맥주는 고유의 술잔이 이미 규격화돼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남성은 하루 2잔 여성은 하루 1잔 이하 마실 것을 권장한다. 그러나 막걸리잔은 아직 통일되지 않아 잔 수로 적정 음주량을 설정하기 힘들다.

신장 결석이 있는 사람이 막걸리를 과다 섭취하는 것도 손해다. 이종기 교수는 "젊었을 때 막걸리를 한꺼번에 많이 마셔 신장 결석을 두 번 빼낸 경험이 있다"며 "그러나 장기적으로 과음은 신장 결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경고했다.

◇주재료 누룩은 "소화 돕는 한약재"

'동의보감'엔 막걸리에 대한 별도의 언급이 없다. 막걸리의 주재료인 누룩은 한방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약재다. '신곡'이라고 부른다.

경희의료원 침구과 이재동 교수는 "신곡은 입맛이 나게 하고 소화가 잘 되게 하며 곽란.설사.이질을 멎게 한다"며 "위.장 기능을 도와주는 한약재"라고 소개했다. 식사한 뒤 소화가 잘 안 될 때 막걸리 한 잔이 특효약이 될 수 있다는 것.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