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건강 Q&A] 갑자기 눈 충혈되고 심한 통증, 잘 보이지 않는데

줄리엣 정/녹내장 전문의

△문= 급작스럽게 안구 통증과 함께 시력이 떨어지며 속이 메스껍고 구토가 난다. 또한 눈이 뻘겋게 충혈되고 밝은 불빛 주위로 무지개 같은 것이 보이는 증세를 보이는데.

▼답=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방수의 배출구가 갑자기 막혀서 안압이 급격히 상승돼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눈의 통증이 상당히 심하기 때문에 많은 경우에 응급실을 찾게 되며 심한 두통은 뇌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이를 폐쇄각 녹내장(Acute Angle Closure Glaucoma)이라고 하는데 눈 안에 있는 액체의 압력 즉 홍채와 각막이 만나는 부위인 각이 막히게 되면서 눈 안에서 액체의 흐름이 막혀 안압이 급격하게 상승돼 발생한다. 눈의 심한 통증, 충혈, 울렁거림, 구토, 두통 등 증상이 있으며 흐릿하게 보이거나 빛을 보면 주위에 띠가 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원시가 있다면 안구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폐쇄각 녹내장의 위험이 더 높다.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가 커져 동공을 막을 수 있고 전방수(홍체와 각막의 사이의 공간)가 좁아지게 된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안구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위험이 더 높으며 가족 중에 질병을 앓은 경우 위험이 더 높다. 또한 동양인이 백인에 비해 정방수가 좁아 위험이 더 높다.

동공 확대로 인해 홍채가 전방수를 막을 경우 폐쇄각 녹내장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드물게 희미한 조명, 항히스타민제, 소염제와 같은 안약 감기약 등이 폐쇄각 녹내장을 일으킬 수 있다.

폐쇄각 녹내장은 응급상황으로 실명이 될 위험이 높으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하며 첫 단계는 안약과 먹는 약을 사용하여 눈의 안압을 낮추는 것이며 레이저 홍채절개술을 하게 된다.

이 질환은 정기적인 안과검진으로 예방할 수 있다. 만약 폐쇄각 녹내장의 위험이 있을 경우 홍채절개술을 받아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합병증이 거의 없다. 213-380-8800.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