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칼럼]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한순간에 사라진 고대 도시

이탈리아 남부 폼페이
곽노은

AD 79년 8월 24일 오후 1시. 캄파니아주 폼페이 인근에 있는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기 시작했다. 시민들은 놀랐지만, 모두 어찌할 바를 모르고 쩔쩔매고 있을 뿐이다. 화산, 용암, 부석(Pumice)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는 사이 화산은 15Km의 높이로 치솟았다. 검은 연기가 태양을 가리자 낮은 컴컴한 밤으로 변하고 말았다. 바로 앞에 있는 것 조차 분간 못할 상황이 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당시 로마 제국의 리조트 도시 폼페이에는 2만여 명(노예 8천 여명 포함)의 주민들이 살고 있었다. 이곳에는 목욕탕, 시장, 경기장, 극장, 술집, 식당 등 시민들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추고 있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베수비오산에서 뿜어진 화산재와 부석은 놀라운 속도로 폼페이를 덮치고 있었다. 하늘에서 떨어지는 부석은 처음에는 가벼운 돌이었다. 하지만 돌덩어리가 점점 커지면서 돌을 맞고 쓰러지는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결단 빠른 사람들은 스타비아이(Stabiae)로 피난을 떠나기 시작했다. 스타비아이는 폼페이 남쪽 나폴리 만을 끼고 있는 작은 해안도시다.

폼페이 시민들이 화산을 피해 도망갈 곳은 오직 바닷가 뿐이었기 때문이다. 이 곳에서 배를 타면 화산폭발 영역 밖에 있는 미세눔, 수렌툼 등 다른 지역으로 떠날 수가 있었다. 당시 미세눔에는 해군 제독, 대플리니우스(Gaio Plinio Secondo)가 지휘하는 로마해군본부가 있었다. 대플리니우스는 군인겸 정치가였지만, 자연과학 등에 관심이 많은 학자이기도 했다. 최초의 백과사전으로 알려진 박물지(Historia Naturalis) 37권이 바로 그가 저술한 책이다. 박물지는 천문학, 인류학, 생리학, 동물학, 식물학, 약학, 광물학, 의학, 미술에 이르는 광대한 대백과사전이다. 그는 박물지 제3권 5장에서 ‘캄파니아는 자연이 아름답고 곡물이 풍부하여 천혜가 풍성한 땅이다’라고 기술한 바 있다. 그만큼 캄파니아주를 사랑했기에 그는 ‘모든 배는 폼페이로 가서 바닷가로 탈출한 사람들을 구하라!’라고 외치며 화산재와 부석이 떨어지는 스타비아이로 배를 타고 건너 갔던 것이다.
밤 8시가 되자 폼페이 도시는 거의 파괴됐다. 하지만 그 때까지도 도시를 떠나지 못한 사람들이 있었는데 임산부나 어린아이, 노약자, 그리고 최후 결단을 내리지 못한 부자들이나 미신을 믿는 사람들이었다. 결국 다음날 새벽 1시쯤에는 거대한 화산폭발이 이어지며 폼페이는 그 후 60피트 높이의 화산재와 부석, 그리고 용암으로 뒤덮혀져 잊혀진 도시가 됐다. 화산폭발이 이어진 18시간 동안 베수비오산에서 뿜어진 화산재와 부석은 약1백억 톤으로 추정한다.

이후 1500년이란 세월이 하염없이 흘렀다. 1599년 어느날, 운하 공사를 하던 도메니코 폰타나(Domenico Fontana)가 폼페이 유적을 발견한다. 하지만 당시 이탈리아는 스페인의 영향 아래 있었기에 스위스 태생의 폰타나는 유적을 더 이상 파지 않았다. 유적 발굴이 시작된 것은 프랑스의 부르봉 왕조가 이탈리아를 지배하던 1748년부터. 당시 나폴리를 여행한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글에 의하면 베수비오 화산은 그때까지도 불을 뿜었다고 한다. 용암도 계속 분출되어 바다 쪽으로 흘러 가고 있었다고 ‘이탈리아 기행 2(1787년)’에서 서술했다.

그 와중에서 프랑스는 발굴되는 유적들은 프랑스 왕궁으로 모조리 실어가 버렸다. 이탈리아인의 주도 아래 유적 발굴을 다시 시작하게 된 것은 이탈리아가 통일된 1861년부터다. 당시 발굴대장으로 임명된 사람은 고고학자인 주세페 피오렐리(Giuseppe Fiorelli)였다. 그는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발굴 작업을 시작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방금 식사를 한 듯한 집에서도 어떠한 공공장소에서도 사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 용암과 화산재가 식어진 흙더미 사이에서 이상한 형태의 빈 공간들이 남아 있었다.

피오렐리는 이 의문의 공간을 주목하고 그곳에 석고를 부어 넣었다. 그리고 석고가 굳은 다음 주변의 훍을 긁어 내자 하얀 석고는 놀라운 형체를 들어 냈다. 빈 공간에는 당시 용암에 사라져 버린 사람들과 동물들의 모습이 그대로 나타난 것이다. 하얀 석고는 폼페이의 마지막 순간들을 생생하게 재현시켰다.
글, 사진: 곽노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