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상식]오장육부의 관계
실생활에서 오장육부라는 말을 자주 쓰곤 합니다. 근데 오장육부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아시는지요? 대부분은 알지만 한두 가지는 잘 모르실 겁니다. 기본적으로 오장은 간, 심장, 비장, 폐, 신장으로 되어있고 육부는 소장, 담, 위, 대장, 방광으로 되어있습니다. 근데 모두 다섯 개씩 이지요? 장이 하나 모자라고 부도 하나 모자랍니다. 오장육부를 때로는 육장육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장에는 심포라고 하여 심장과 비슷하지만 또다른 역할을 하는 장기가 있고 육부에는 삼초라는 눈으로 볼 수 없는 한의학 고유의 용어가 있습니다. 한의학을 공부하면서도 이 두 가지의 개념을 잡는 것이 참으로 어렵습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장과 부의 관계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를 드리겠습니다. 장과 부는 형제관계라고도 하고 음과 양의 관계라고 하는데 서로 견제하기도 하고 도와주기도 하는 역할을 합니다. 심장은 소장과, 폐는 대장과, 간과 감, 비와 위장, 신장과 방광 마지막으로 심포와 삼초의 관계가 서로 연결됩니다. 대표적으로 폐에 문제가 생기거나 비염등의 환자에게서 대변의 문제가 많이 보이며 동시에 피부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대장에서 몸안의 독소가 빠져나가지 못해 피부문제나 아토피가 생기는 이유가 바로 폐, 대장, 피부의 관계 때문입니다. 또한 신장이 약하거나 문제가 생기면 소변의 이상을 가져오는 것은 양방의학에서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사실입니다. 짧은 지면으로 모두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이처럼 우리 몸은 장기를 하나하나 따로 떼어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이고 서로 도와가며 움직이기 때문에 어느 부분이 아프다면 그와 동시에 다른 불편한 것은 없는지를 잘 살펴서 전체적인 관점으로 치료를 해야 빠르고 정확한 치료를 할 수가 있습니다. 공부할 수록, 몸을 잘 들여다볼 수록 매력에 빠져드는 것이 한의학이 아닐까 합니다.
▷문의: 703-642-6066(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