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전공과 직업] 통계학 전공자 공직 근무 많아… 언어학은 석사 필수

전공 일찍 정할수록 진로 결정도 빨라져
졸업 후 취업 빨리하려면 인턴십 필수
간접 일자리도 인기… 시장성 확인해야

대학을 준비하는 많은 한인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큰 고민 중의 하나는 전공을 결정하는 문제다. 학생들이 공부하고 싶은 전공이 있는가 하면 부모가 원하는 전공이 다른 경우가 많다. 또 합격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학생의 진로에 상관없이 경쟁률이 낮은 전공을 선택했다가 차후에 변경하는 방법을 쓰거나, 전공을 정하지 않고 미결정(Undecide)으로 원서를 제출하는 학생도 상당히 많다.

학생이 전공을 미리 정하고 대학을 입학한다 해도 몇 번씩 전공을 바꾸기도 하지만 그래도 전공을 정하고 대학을 입학할 때는 우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아트(Arts)= 순수 미술 관련 일을 할 수도 있지만 박물관이나 갤러리에서 아트디렉션, 관리, 전시 디자인 및 준비, 보존, 복원, 기록 관리, 교육, 투어, 판매, 출판, 개발 일을 할 수 있다. 또는 광고 에이전시, 디자인 회사, 마케팅 부서, 출판사, 방송국, 영화사 등에서 그래픽예술, 웹 디자인, 만화, 일러스트레이션, 광고, 스토리보드, 애니메이션, 아트 디렉션, 로고, 각종 디자인 업무를 할 수 있다. 대학원 공부를 하면 아트 테라피 쪽으로 나갈 수도 있다.

언어(Linguistics)=언어학 전공자의 대부분 관련 직업은 대학원 공부를 요구한다. 정부 기관, 국제 회사, 병원, 법원, 출판사, 제조업 회사, 컨설팅 회사 등에서 번역, 통역, 기술 문서 작성, 편집 일이나 언어 병리학, 언어 장애, 청각학, 청각 복원 관련 일을 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도 재능이 있는 학생은 아마존 같은 인터넷 사업,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IBM 같은 컴퓨터 회사 등에서 자연 언어 처리, 음성 인식, 기계 (자동) 번역, 텍스트 마이닝 관련 일을 할 수 있다.

영어(English)= 엔지니어링이나 의료계에서 매뉴얼 등을 쓰는 기술 문서 작성, 출판사 관련 업무 (편집.광고.세일즈.마케팅 등), 광고 회사나 홍보팀에서 광고 문안 작성, 소셜미디어 관리, 모금 일이나 비즈니스 쪽에서는 관리, 인사, 보험 등의 일도 가능하다. 단, 비즈니스 일을 하려면 관련 부전공을 갖는 게 유리하다. 법대로 진학해도 좋다.

철학(Philosophy)= 철학 공부는 병원이나 생명윤리센터에서 윤리 관련 교육이나 연구의 기회로 이어질 수도 있고 법대를 위한 탄탄한 바탕이 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비즈니스 분야에서 세일즈, 관리, 인사, 작문, 편집일 등이 있고 비영리단체, 연구소, 정부 등에 소속되어 정책 분석, 연구, 도시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컴퓨터학(Computer Science)= 패션, 호텔, 운송 회사 등 스타트업에서 오래된 기업까지 다양한 곳에서 프로그래머나 소프트웨어 개발자, 시스템 분석가 등으로 일할 수 있다. 컴퓨터학 외에 학생의 관심사에 따라 생물 정보학, 보안,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등 들어갈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생물학(Biology)= 학사 과정을 마치고는 교육, 산업, 정부 기관, 박물관, 공원, 가든 등에서 연구 보조원이나 기술자로 일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교육, 기술 문서 작성, 약품 세일즈, 컨설팅,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 연구 개발 분야의 고용인으로는 약품, 농업, 식품 가공업 회사가 있고 개인 연구 기관과 더불어 연방식품의약청(FDA)이나 연방질병통제센터(CDC) 같은 정부 기관도 있다.

수학(Math)= 정부 기관, 과학 연구 개발이나 컨설팅을 하는 회사, 항공사 등 관심 분야에 따라 순수/응용 수학 연구를 할 수 있는데 연구 외에 직접적으로 수학을 많이 쓰는 직업으로는 보험 계리사가 있다. 프로그래밍 기술을 쌓아서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시스템 분석 쪽으로도 일할 수 있고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신용분석, 재무분석, 투자 은행 업무의 기회도 있는데 비즈니스 부전공이나 인턴십 등으로 관련 지식을 쌓는 게 좋다.

물리학(Physics)= 학사 과정을 마치고는 연구 보조원, 기술자, 또는 컴퓨터 전문가 등으로 일할 수 있고 법대나 비즈니스 분야로 나갈 수도 있다. 일할 수 있는 곳으로는 정부 기관, 천문대, 과학박물관, 의료기기 제조 회사가 있고 대학원을 마친 경우 전문 분야에 따라 항공우주산업이나 생명공학 분야에서 연구원이나 컨설턴트로 일할 수 있다.

통계학(Statistics)= 통계학자의 30%는 정부 기관에서 일한다는 통계가 있는데 그도 그럴 것이 각종 정부 기관에서 인구 조사, 위험 평가, 공중위생 등의 조사 및 분석을 위해 통계학 전공자를 필요로 한다. 정부 기관 밖에서도 통계학자의 수요는 높다. 병원이나 약품 제조 회사 등 임상 시험을 하는 곳에서 일할 수도 있고, 스포츠 통계같이 독특한 분야도 있으며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쓰이는 오퍼레이션 연구, 금융, 보험 등 분야가 다양하므로 공부할 때 관심 분야에 집중하면 도움이 된다. 통계학을 직접 쓰는 직업들이 많은 만큼 대학원 학위를 필요로 하는 곳이 많다.

경영학(Business)= 비즈니스 전공자는 은행, 소매점, 레스토랑, 호텔, 소프트웨어 회사 등에서 경영을 맡거나 세일즈, 보험, 은행 업무, 부동산, 인사관리 등의 다양한 기회가 있다. 기업 회사에 신입 사원으로 입사하면 여러 부서를 돌아가면서 최종적으로 한 부서에 들어가게 되는 로테이션 프로그램으로 시작할 확률이 높다. 비전공자도 비즈니스 일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문성과 관련 경험을 충분히 쌓는 것이 좋다.

경제학(Economics)= 컨설팅 회사, 싱크 탱크, 소비 물자 제조 회사, 각종 정부 기관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예측, 경제 개발, 정책에 대해 조언을 하는 경제학자가 될 수 있는데 이런 직업은 보통 석사나 박사 과정이 필요하고 학사 과정만 마쳤을 경우 연구 보조원으로도 정부에 취직 기회가 있다. 금융, 보험, 세일즈, 경영 등의 분야가 있고 경영직으로 가면 보통 기업 회사의 수습사원으로 로테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일을 배우게 된다.

정치학(Political Science)= 지역 또는 주 정부, 교육국 등에서 정책, 도시 계획, 도시 경영 등에 일을 할 수 있고 연방 정부의 170여 개의 에이전시에서도 일할 수 있다. 그 밖에 법대를 가거나 비영리재단, 유엔같은 국제기관과 컨설팅 회사나 재단에서 인권, 공공 부문 개혁, 자원 개발, 윤리와 부패 방지 관련 업무를 할 수 있다. 신문사, 기업, 노동조합, 방송국 등에서 편집, 취재, 출판, 홍보 업무도 가능하며 비영리 단체에서 운영, 모금, 개발, 정책 분석을 할 수 있다. 리더십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세일즈, 인사 관리, 경영, 시장 분석, 마케팅, 광고, 부동산)도 적합하다.

심리학(Psychology)= 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상당수가 학문으로서의 매력 때문에 전공을 선택하고 전공과 상관없는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학생들은 여름방학동안 인턴십이나 파트타임이나 자원봉사로 희망 진로와 관련된 경험을 쌓는 게 중요하다. 석사 과정을 마치면 사회복지자, 상담 전문가, 교육 카운슬러를, 박사 과정 후에는 심리학자, 산업 심리학자 등의 기회가 있다. 대학 행정이나 기업이나 병원 인사과, 비즈니스(세일즈, 마케팅, 광고, 경영, 부동산)도 적합하다.

사회학(Sociology)= 정부 기관, 종교 단체, 개인 재단, 입양 기관, 호스피스 에이전시 등에서 상담, 행동 분석, 검사 등 직접적인 업무를 할 수도 있고 커뮤니티 단체나 비영리단체의 운영을 맡거나 기금모금 담당도 괜찮다.

공부를 더 해서 들어갈 수 있는 분야로는 법조계와 경찰, 법원, 교도소 등 사법제도를 연구하는 응용 범죄학을 꼽을 수 있고 환경학에 관심 있는 학생은 비영리단체, 국립 공원, 컨설팅 회사, 리조트 등에서 자원 보존, 연구, 환경 교육 일을 할 수 있다.

수 변 원장 / 보스턴에듀케이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