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상서로운, 상스러운
'상서롭다'는 '상서로운' '상서로워' '상서로우니' 등으로 활용된다. "봉황은 상서로운 새 가운데서도 가장 상서로운 것으로 꼽혀 새 중의 왕으로 불린다"처럼 쓰인다.그런데 '상서로운'은 '상(常)스럽다'(말이나 행동이 보기에 천하고 교양이 없다)의 활용형 '상스러운'과 발음이 비슷해 잘못 적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상스럽다'와 '상서롭다'는 엄청난 의미 차이가 있기 때문에 뒤바꿔 쓰면 뜻이 아주 우습게 돼버린다.
'상스러운'은 "그 사람은 저속하고 상스러운 말을 지껄이고 경망한 행동을 거듭하였다"처럼 쓰면 된다.
길한 징조에는 '상서로운'을 쓰고, 말이나 행동에 품위가 없어 천하고 교양이 없어 보이는 경우에는 '상스러운'을 쓴다는 점을 머릿속에 담아두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