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귀이개로 귀지를 파다
"귓밥이 가득 찼다" "귓밥을 팠다"는 틀린 표현이다. '귓밥'은 귓바퀴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인 귓불을 뜻한다. '귓구멍 속에 낀 때'는 '귀지'라고 해야 옳다.귀지를 파낼 때는 '귀이개'가 필요하다. 귀이개도 귀지개·귀개·귀후비개·귀쑤시개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귀이개는 우비다·후비다의 옛말인 '우의다'가 붙은'귀우개(귀+우의+개)'에서 변한 말이다. 따라서 '귀이개로 귀지를 파다'가 올바른 표현이다.
귀걸이·귀고리는 둘 다 표준어다. 귀걸이는 귀마개 등 '귀에 거는 것'을 모두 가리키며 '귓불에 다는 장식품'인 귀고리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귀엣말과 귓속말도 둘 다 쓰인다. 원래 귀엣말만 사용되다 귓속말이 세력을 얻으면서 표준어로 인정받았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