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우리말 바루기] 육월→유월

음력으로도 '오뉴월 더위에는 염소 뿔이 물러 빠진다'는 오뉴월로 접어들었다. '오뉴월'은 오월과 유월을 함께 뜻하며, 여름 한철을 일컫는 말이다.

6월을 일월·삼월처럼 '육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로, '오륙월'을 '오뉴월'로 부르는 이유는 무엇일까. 받침이 없는 것이 발음하기 편하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를 '활음조(滑音調)' 현상이라 한다.

'유월'과 마찬가지로 '십월(十月)'은 '시월'로 읽는다. 보리(菩提), 보시(布施), 도량(道場:도를 얻으려고 수행하는 곳)도 본음과 달리 소리 나는 것들이다. 이 밖에도 팔일(八日)/초파일(初八日), 목재(木材)/모과(木瓜), 분노(憤怒)/희로애락(喜怒哀樂)처럼 같은 한자어이지만 달리 읽히는 것이 많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