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의학노트] 의학논문 저자는 왜 많을까?

인문학의 경우 두툼한 단행본이라도 저자는 대개 한 명인데, 의학 논문은 짤막해도 저자가 여러 명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데 왜 이렇게 됐을까?

'국제 의학학술지 편집자 위원회'는 저자의 자격을 ①연구 계획의 수립, 자료 수집 및 분석에 충분히 기여했고 ②논문 원고를 직접 쓰거나 원고를 검토하고 개선했으며 ③최종 원고를 검토한 후 투고를 허락하고 ④논문의 정확성과 진실성에 책임을 지는 것에 동의하는 경우로 정해두고 있다. 단, 이 네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그렇지만 논문의 가장 중요한 저자는 역시 저자 명단의 가장 앞에 나오는 제1 저자와 대개 가장 뒤에 자리 잡는 책임 저자다. 제1 저자는 연구 과정에 가장 크게 기여한 사람이 맡으며 초고를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책임 저자는 연구를 기획하고 진행한 책임자라는 뜻이며, 독자가 논문 내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을 때 연락할 수 있는 저자라는 뜻으로 교신저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세계적인 면역학자로 '위험 모델'을 제창했던 폴리 매칭거 박사의 논문과 관련된 오래된 일화를 소개한다. 플레이보이 클럽에서 바니걸로 일하기도 했던 그녀는 술집 웨이트리스, 재즈 뮤지션, 목수, 개 조련사 등의 다양한 직업을 거쳤는데, 그녀가 일하던 바의 단골 손님이었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로버트 슈왑 교수에 의해 인생이 달라지게 된다. 이 웨이트리스의 재능을 눈여겨본 슈왑 교수는 대학 졸업장도 없었던 그녀에게 과학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을 권유하고, 결국 그녀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본격적인 연구자의 길을 걷는다. 문제는 그녀가 1978년에 '실험의학저널'이라는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이었다.

흥미로운 내용을 담고 있던 이 논문은 엉뚱하게 저자와 관련하여 구설에 오른다. 논문의 저자는 단 두 명이었는데, 매칭거 박사와 '글라드리엘 머크우드'라는 연구자였다. 문제는 이 두 번째 저자의 정체였다. 매칭거 박사가 일하던 대학에는 이런 이름을 가진 사람이 없어 그의 정체를 궁금해했는데, 결국 두 번째 저자는 매칭거 박사가 키우던 개의 이름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실을 알게 된 '실험의학저널'의 편집장은 격노했다는데, 왜 그녀가 이런 허무맹랑한 일을 했는지에 대해 밝힌 적은 없다고 한다. 호사가들이 추측하기로는,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그녀가 시대에 뒤떨어진 고리타분한 문장을 요구하던 의학술지들의 관행을 비웃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하여간 지나가던 개도 웃을 일이다.


임재준 / 서울대 의대 호흡기내과 교수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