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멕시코에 26조 투자했는데…일본 車업계, 트럼프 관세 어쩌나

'USMCA 재협상' 내년 7월까지 불확실성 지속 가능성도

멕시코에 26조 투자했는데…일본 車업계, 트럼프 관세 어쩌나
'USMCA 재협상' 내년 7월까지 불확실성 지속 가능성도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멕시코를 미국에 대한 수출기지로 삼아 26조원 가까이 투자했던 일본 자동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5일(현지시간) 일본 자동차 부품 및 완성차 제조업체가 멕시코에 투자한 규모가 180억 달러(약 25조8천억원)에 이른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일본 주요 자동차업체 4개사의 멕시코 내 연간 생산 규모는 130만대로, 멕시코 투자국 가운데 가장 많다. 멕시코 당국 통계를 보면 지난해 일본이 멕시코에서 생산한 차량의 82%는 수출됐다.
일본 업체들은 멕시코의 저렴한 인건비와 대미 수출 무관세를 염두에 두고 투자해왔지만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로 이러한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가 한 달간 유예한 상태로, 양국과 협상을 이어가면서도 예정대로 관세 부과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 자동차 업계는 향후 투자 계획은 물론 공급망을 변경할 필요성 등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우치다 마코토 닛산자동차 사장은 최근 "이번 회계연도에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32만 대를 수출했는데 높은 관세가 부과되면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 관세를 피하기 위해 멕시코의 생산기지 일부를 다른 나라로 옮기는 것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마즈다·혼다 등 다른 업체도 비슷한 입장이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따르면 관세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일본 기업의 주요 멕시코 투자 프로젝트가 이미 4건 중단된 상태다.
한 자동차부품업체 사장은 불확실성이 걷힐 때까지 투자 결정을 멈춘 상태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계속 바뀌는 만큼 매우 어렵다.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 어떠한 사업 결정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금 당장 생산시설 이전을 검토하기보다는 경영 효율화를 통해 관세 고비를 넘기겠다는 기업들도 적지 않다.
내년 7월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 재협상이 있는 만큼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JETRO의 나카하타 다카오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측면에서 일본 자동차업체들이 멕시코보다는 동남아시아에 투자하거나 미국 생산을 늘릴 가능성이 있다면서 "멕시코 투자는 내년 7월께까지 매우 느리게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차병섭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