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E 사람] '친한파' 유명 작곡가 겸 프로듀서 피터 라펠슨 "팝컬처 역사 장식할 한국 가수 등장할 것"

보아·신화·이정현 등 미국 진출 적극 도와
팬들에겐 피부색 아닌 '쿨하냐 아니냐'가 관건
"한인들 성실한 자세·정신력이 최고의 경쟁력"

"시간이 걸릴 겁니다. 하지만 변화는 분명 일어나고 있죠. 메인스트림 팝 컬처에 새로운 역사를 장식한 한국 가수가 나올 날도 그리 머지 않았습니다."

마돈나 엘튼 존 브리트니 스피어스 등 세계적 스타들과 작업해 온 유명 작곡가 겸 프로듀서 피터 라펠슨. 그는 팝계에서 '친한파'로 통한다.

2003년부터 한국 가요계에 관심을 갖고 교류를 시작해 한국의 유수 연예기획사들과 여러 방면에서 합작의 성과를 보였던 것은 물론 한국 가수들의 미국 진출 한국 음원의 미국내 디지털 유통 등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는 장본인이다.

보아 신화 플라이투더스카이 이정현 김완선 등 그간 함께 작업한 한국 가수들도 쟁쟁하다. 라펠슨이 작곡한 신화의 '헤이 컴온'(Hey Come on)이나 보아의 '돈 스타트 나우'(Don't Start Now)등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 전체에서 큰 인기를 얻은 곡들이다.

그는 "한국인들의 팝 컬처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며 "이는 세계적 히트 가수가 될 수 있는 잠재력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가끔은 한국인들이 미국 사람보다 팝 문화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단 생각이 듭니다. 미국 사람들은 '미국 것'이 아닌 다른 모든 것들에 무관심하고 배타적인 경향이 있습니다. '외국인'들의 음악은 모두 자신들의 '아류'라고 생각하고 존중하지 않아 미국 시장 첫 진입은 매우 어렵죠. 하지만 일단 멋진 감각을 지닌 좋은 음악이라고 받아들여지면 인종과 국적 등은 아무런 상관이 없는 곳이 또한 팝 시장입니다."

라펠슨은 실제로 한인도 아시안도 아닌 다른 여러 인종의 미국 10대들을 직접 만나 그들이 보아나 원더걸스 등의 음악을 알고 즐겨 듣는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이제 시작이구나' 생각했었다고 한다.

"아이들에겐 그 가수가 '코리안이냐 다른 아시안이냐'하는 사실 따윈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쿨하냐 쿨하지 못하냐' 뿐이죠."

둘째 가라면 서러울 팝계의 거성들과 일해 왔지만 한국 가수들에게서 받은 깊은 인상은 라펠슨의 음악 인생에도 새로운 영감이 됐다.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라펠슨 미디어 컴퍼니 한 켠에 한국의 기획사들의 방식을 벤치마킹한 '연습실'을 만들어 놓은 것도 그 영향이다.

"한국 가수들의 트레이닝 시스템은 거의 '군대' 수준입니다. 열네댓살 무렵의 보아가 하루 종일 노래와 춤 영어 일어 중국어 공부를 하는 걸 보며 '이렇게 열심히 하는 사람들과는 그 누구도 상대가 안 되겠다' 생각했던 기억이 생생하답니다. 일에 임하는 태도 자체도 완전히 달라요. 연습이나 미팅 시간에 절대 늦지 않고 아무리 힘들어도 절대 포기하지 않는 '직업 정신'은 한국 가수들만이 가진 최고의 경쟁력입니다."

하지만 그런 만큼 미국 시장에서의 좌절은 이들에게 큰 아픔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그는 강조했다. 미국 활동에 매진하느라 한국에서의 인기 기반을 포기해야 하는데서 오는 갈등도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다소 보수적인 한국적 취향과 섹시함으로 어필해야 하는 미국적 취향을 오가는 게 쉽진 않을 겁니다. 게다가 '섹시하다'고 느끼는 코드도 문화권마다 다르다는게 문제죠. 한국과 아시아에서 인기를 미리 다져놓는 것이 미국 진출에 어떤 영향을 발휘하느냐는 점도 잘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JYP 소속 가수들 중 일부가 처음부터 미국 무대에서 데뷔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들여 엄청난 노력을 했지만 아직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라펠슨은 '스타'가 되기는 여자 가수가 쉽지만 '수퍼 스타'가 될 가능성은 남자 가수가 더 높다는 분석도 내 놓았다.

"쉽게 말해 남성팬들은 '짐승' 입니다. 여자 가수가 '핫'(Hot)하다고 느끼면 그냥 좋아하고 소비하는거죠. 때문에 웬만큼 노래와 춤이 되는 여자 가수라면 어느 정도 위치까지는 쉽게 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성팬들은 다릅니다. 멋진 남자 가수에게 끌리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더 많은 요소와 더 많은 이미지들을 따지고 고려해 종합적인 판단으로 '저 가수가 멋있다'는 생각에 이르죠. 그래서 남자 가수들이 쌓는 인기는 훨씬 강하고도 단단하기 마련입니다."

비나 세븐처럼 연기와 노래의 영역을 오가는 스타들이 팬들을 사로잡는 것도 그 때문이라고 라펠슨은 덧붙였다.

"팬들에게 여러가지 다른 모습 다양한 이미지를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은 자신을 좋아하게 만들 기회를 더 많이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최근엔 새로운 미디어들을 통해 스타들의 모습을 접할 수 있는 통로가 많아지면서 이들 같은 '멀티 탤런트' 스타들은 더욱 유리해졌죠."

문득 그가 가장 좋아하는 한국 가수는 누구일까 궁금해졌다. 한참을 고심하던 그가 '이효리'란 답을 내놓았다.

"무대에 선 이효리의 모습을 몇 번 봤는데 정말 대단했어요. 프로다운 느낌이 물씬 난다고 할까요? 비디오도 훌륭해서 얼마든지 미국에서도 성공할 수 있겠더라고요. 영어만 잘 했다면 꼭 함께 작업해서 미국 진출을 돕고 싶었는데 아쉬울 따름입니다."

■피터 라펠슨은…

작곡가겸 음반 제작자. 빌보드 1위를 기록하며 전세계에서 2700만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올린 마돈나의 '오픈 유어 하트'(Open Your Heart)를 만든 장본인이다. 이 밖에도 그가 코어스 에리카 제인 등과 작업한 20여곡의 노래들이 빌보드 각종 하위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출연한 '크로스로드'(Crossroads)의 영화음악이나 최고 인기를 누리며 폭스TV에서 방송되고 있는 드라마 '글리'(Glee)의 사운드 트랙 제작에도 참여했다. 현재 버뱅크에서 음반 및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제작 및 마케팅을 주 업무로 하는 라펠슨 미디어 컴퍼니(RMC.Rafelson Media Company)를 운영하고 있다.

피터 라펠슨의 아버지는 '포스트맨은 벨을 두번 울린다' 등을 연출한 유명 영화감독 밥 라펠슨이다. 그는 잭 니콜슨과 10여편의 영화를 찍었으며 뉴욕 영화비평가상 최고의 감독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상 각본상 후보에 오르는 등 작품성을 높이 평가 받아온 명 감독이다.

글=이경민 기자 사진=김상진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