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보관용기 TIP, 공기 쭈욱~ 빼내면 냉장고서도 끄떡없어요
플라스틱백, 날짜·시간 기록할 수 있어 편리
진공백, 공기와 접촉 안돼 변색 막아줘
음식물 보관에서 가장 중요하게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할 것은 음식을 상하게 하는 요인인 공기나 습기, 냄새 등의 차단이다. 아침에 싸서 점심에 먹게 되는 샌드위치의 경우, 햇볕이 강한 곳에 놓으면 금방 상하게 되므로 그것만 아니면 굳이 신경을 쓰지않아도 된다.
그러나 수일 혹은 수개월 냉동실에 보관할 경우는 보관용 용기나 포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음식물 보관의 가장 기본은 외부 환경과 음식을 차단하는 것이다. 다음은 일반 가정에서 가장 흔히 사용할 수 있는 보관 용기들이다.
▷저장 용기
용기는 음식물 사이즈에 맞는 크기에 뚜껑이 잘 밀봉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같은 용기의 사용은 냉장고 등에서 공간활용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오래 보관을 하다 보면 자칫 무엇을 보관했는지 잊어버리는 수가 있는데 투명한 용기를 사용하면 내용물 확인이 쉬워 사용이 편리하다. 주의할 점은 음식물을 냉동실에 보관할 경우 용기에 가는 금이 가면서 공기나 습기가 유입될 수 있어 이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팁: Gladware와 같은 1회용 이상의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용기에 자국이 남거나 밀봉이 잘 안 될 경우는 미련없이 버리는 것이 좋다.
▷ 포장
포장은 가장 잘 밀봉 보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다. 일부 플라스틱 랩은 음식물이나 식기에 그대로 밀봉할 수 있어 아주 유용하며 호일은 습기나 냄새가 음식물에 배는 것을 잘 막아준다. 음식물을 냉동실에 넣기 전 철저하게 밀봉하기 위해서는 호일이나 기름종이 등으로 먼저 포장을 한 다음 랩으로 포장해 냉장 테이프를 이용해 붙이면 된다. 왁스 페이퍼로는 철저하게 밀봉할 수 없기 때문에 오랜 기간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플라스틱 백
플라스틱 백은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 좋다.
특히 음식물의 양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가 있고 어떤 제품은 전면에 날짜와 시간을 기록할 수도 있으며 냉동 보관을 위한 두꺼운 플라스틱 백도 있다.
팁: 밀봉하기 전에 반드시 공기를 모두 빼내도록 한다. 냉장실에서 공기가 들어가거나 변색하는 것을 막고 싶다면 플라스틱 백을 이중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위쪽을 철사로 된 트위스트 타이로 밀봉할 경우 백을 돌려막은 다음 위쪽을 접으면 밀봉효과를 높일 수 있다.
▷ 진공백
일부 진공백은 백에 있는 공기만을 빼내거나 또 어떤 제품은 용기내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호스가 있은 것도 있다. 진공 백은 음식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고 냉동실에서의 변색을 막아줄 수도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백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진공포장된 캔이나 병 백처럼 산소가 없거나 적은 곳에서는 식중독균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이들 냉동 고기나 채소 등은 충분히 가열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럼 이들 용기는 안전한가
FDA는 가정용 플라스틱 음식 용기나 랩 등을 적절히 사용할 경우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부 소비자기관들은 그렇지 않다는 주장이다. 일부 플라스틱 제품의 경우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이같은 우려에 대한 과학적 논란은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이다. 많은 연구결과 일부 보통 플라스틱의 경우 열을 가할 경우 용기로부터 화학물질이 나와 음식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런 화학성분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FDA는 음식에 들어갈 수 있는 화학성분의 양이 안전기준에 부합하다고 하는 반면 일부 과학자들은 비록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적은 양이라도 노출될 경우 잠재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해 주의가 요망된다.
특히 최근 발표된 건강연구소의 보고서도 이같은 점에 우려를 제기했다.
▷ Polycarbonate
일부 음식저장 용기나 스포츠 물병 5갤런 물탱크 아기 물병 등에 들어있는 성분이다. 재활용 번호 7번이나 PC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면 Polycarbonate 성분이 들어있는 것이다. 일부 고무제품 등에도 7번이 붙어있다.
플라스틱 용기는 BPA라는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문제는 에스트로겐이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당뇨 선천성 결손증 아이들의 과잉행동장애와 같은 질병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특히 일부 연구결과 BPA는 이를 함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용기가 열이나 스크레치 깨진 부분 등이 설거지나 잦은 재사용으로 음식에 노출될 경우 음식이나 음료 등에 그 성분이 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BPA는 일부 캔음식의 라이너(liner) 등에서 노출될 수 있다. 미건강연구소(NIH)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태아나 어린이의 건강에 잠재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피하는 방법은 우선 재활용 7번이 적힌 용기 사용을 피하거나 어떤 표시도 되어있지 않은 투명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필요한 경우 BPA가 없는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제품들 재활용 번호 2 4 5번과 같은 제품을 사용하거나 유리병처럼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해도 안전한 용기의 사용을 권하고 있다.
▷PVC(polyvinyl chloride)
PVC는 플라스틱 병이나 용기 레이놀드 랩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화학제품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플라스틱이 유연하면 할 수록 플라스틱 화학성분이 더 많이 들어있다. 그래서 재활용 3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조앤 신 객원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