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영완의 대학진학 칼럼] 프린스턴대 입학국장의 조언
명문 대학에 합격하기 위한 방법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이들 대학은 지원자들로 하여금 뛰어난 학업능력과 열정적인 과외활동, 그리고 남들과 차별화된 독창성 등 다방면에서의 우수성을 요구한다. 게다가 '대학이 추구하는 다양성(Diversity)에 기여할만한 인재' '자신이 다니는 학교에서 인성을 발전시켜 온 인재(Personal Development)'들을 요구한다. 즉, 이들 방법론이 다소 추상적이어서 얼른 우리 마음에 와 닿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명문 대학들은 바로 이같은 인재상을 찾고 있다는 사실이다.이와관련, 프린스턴 대학의 자넷 라펠리에 입학국장이 뉴욕타임스에 게재한 내용을 두차례에 걸쳐 자세하게 알아본다.
▶ 고교 커리큘럼과 특별활동
우선 자신이 다니고 있는 고등학교의 커리큘럼과 과외활동을 최대한 활용하고, 집중하라고 말하고 싶다. 일부 학생들은 대학 준비를 하기 위해 (9-10학년때부터) 일찌감치 개인 튜터 및 SAT 시험 점수 올리기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
저학년때는 학교생활 속에서 즐거움을 찾고, 이를 통해 인성개발(Personal Development)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또 여름방학 활동과 관련해선 한가지를 하더라도 몇년간 꾸준히 할 것을 권한다. 9-10학년때 참여했던 캠프에서 11-12학년때에는 리더십을 발휘하거나 학생 카운슬러가 되어 저학년들을 지도한다면 더 눈길을 끌 것이다. 과외 활동은 대학입학 사정관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들이 아니다. 과외활동 가짓 수를 지나치게 많이 늘어놓기 보다 자신이 정말 즐기고, 좋아하는 활동을 통해 재능을 보여줄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 학교 커리큘럼과 관련해선 학생이 너무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과목에만 집중해 녹초(Burnout)가 되기 보다 학생에 맞는 도전적인 커리큘럼과 학내 과외활동이 건강하게 배합(Healthy Mix)된 모습을 갖추는 것이 좋다. 여기서 도전적인 커리큘럼이란 각 학교에서 제공하는 범위내에서의 높은 수준을 말한다.
과목별로는 영어의 경우 글쓰기가 충분히 이뤄질 만큼의 4년간의 코스웍, 수학은 미적분을 포함한 4년간의 코스웍, 외국어는 한가지를 4년간 꾸준히 공부하는 모습, 그리고 과학은 공대 지원자의 경우 물리 화학을 포함한 커리큘럼을 짤 것을 추천한다.
▶SAT 시험 점수
SAT시험 몇 점이 합격 안정권이냐는 물음에는 답하기 어렵다. 프린스턴은 학생의 전체 모습을 평가하는 포괄적 입학사정(Holistic Review)을 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SAT 만점을 맞아도 떨어질 수 있으며, 생각보다 낮은 점수라 할지라도 합격할 수 있는, 합격을 결정짓는 커트라인이 없다는 뜻이다.
SAT 및 서브젝트 시험 점수 보고와 관련해서는 조기전형의 경우 가급적 11월1일까지 제출해 줄 것을 권장하지만, 11월 시험도 칼리지보드를 통해 곧바로 보내준다는 전제 하에 살펴볼 수 있다.
▶입학심사시 우선순위
기본적으로, 합격자를 결정하는 공식(Formula)은 갖고 있지 않다. 하지만 각 학교에서 보내 온 성적표를 맨 처음 검토한다. 이를 통해 각 학교에서 제공하는 커리큘럼을 얼마나 최대한 도전적으로 수강 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성취도(성적)는 어떤지 살펴본다. SAT 성적은 이때 학교 성적과 함께 지원자가 대학과정을 얼마나 잘 소화해 낼지 예측해보는 자료로 활용된다.
그 다음, 교사추천서와 카운슬러의 평가서를 읽는다. 그리고 학생이 쓴 에세이와 특별활동 섹션란,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냈는지, 일경력 및 자원봉사 경험, 학교밖 활동은 무엇을 했는지, 그 밖에 보내온 다른 보충자료(Supplement) 순으로 읽어본다.
이같은 자료를 통해 지원자가 지난 고교시절 수업시간에 얼마나 적극적이고도 창의적인 학생이었는지 예측해 보고, 음악 스포츠 등 과외활동을 통해선 무엇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 학생이었는지, 그리고 장차 학생의 전공 분야 혹은 커뮤니티에서 리더 역할을 얼마나 잘 수행할 수 있을지도 가늠해본다.
▷문의: 571-217-9595, CAN Educational Consulting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