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 편 동화 같은 늑대소년과의 슬픈 사랑 이야기…늑대소년

세상에 없는 한 편의 동화 같은 사랑 얘기가 여심을 자극할 것 같다.

늑대소년과 사랑에 빠지는 비현실적인 얘기를 1960년대 강원도 한 산골 마을이라는 신비로운 시공간을 배경으로 그럴듯하게 펼쳐놓은 영화가 있다. 게다가 이 사랑스러운 늑대소년이 당대 최고의 꽃미남으로 꼽히는 배우 송중기이기에 판타지의 폭발력이 크다.

영화 '늑대소년' 이야기다. 미국에서 아들 내외와 평온한 일상을 살아가던 늙은 '순이'는 한 통의 전화를 받고 한국을 방문 강원도의 한 낡은 집을 찾는다. 순이의 기억은 47년 전의 한때로 거슬러 올라가고 한 사람에 대한 생각에 빠진다.

폐병을 앓던 순이(박보영)의 요양을 위해 엄마(장영남)와 동생이 함께 공기 맑은 강원도의 이 집으로 이사를 온다. 그리고 다음날 헛간 근처에서 때가 잔뜩 낀 채로 짐승처럼 기어다니는 사람(송중기)을 발견한다. 마음씨 좋은 엄마는 이 소년을 거둬들여 씻기고 밥을 먹이고 '철수'라는 이름까지 지어준다.

병을 앓느라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까칠하기 이를 데 없던 순이는 이 짐승 같은 존재를 처음엔 극도로 혐오하다가 차차 길들일 궁리를 하기 시작한다. '애견 훈련법'이라는 책을 보고 조금씩 훈련을 시킨 덕택에 철수는 순이의 말을 따르기 시작하고 점점 사람과 비슷한 꼴을 갖추게 된다. 시간이 갈수록 두 사람의 교감이 깊어지지만 철수를 눈엣가시처럼 여기는 부잣집 아들 '지태'(유연석)의 음모로 숨은 철수의 비밀이 드러나고 군 당국까지 나서 철수를 사살하려 한다.

영화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은 사람인 순이가 짐승에 가까운 철수를 길들이는 과정이다. 짐승처럼 거칠고 본능에 따라서만 움직이던 철수는 순이의 따뜻한 칭찬과 '쓰다듬기'에 길들며 참을성을 갖게 되고 기다릴 줄 알게 된다.

두 사람이 교감하는 대부분의 장면이 극도로 밝은 빛으로 처리해 예쁜 동화 같은 느낌을 준다. 기타를 치며 노래를 부르는 순이를 바라보며 철수가 마법처럼 빠져드는 장면은 특히나 몽환적으로 연출됐다. 이렇게 아름다운 장면들로 여심(女心)을 자극한 뒤 태생적으로 다른 존재이기에 결코 지속될 수 없는 두 사람의 가슴 시린 사랑을 보여주며 영화는 슬픈 로맨스의 절정으로 치닫는다.

말도 못 하고 눈물만 뚝뚝 흘리는 아름다운 늑대소년 송중기의 청초한 얼굴은 많은 여성 관객의 눈물샘을 자극할 만하다.

세상 어디에도 없던 최소한 한국영화에서는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는 늑대소년이란 이질적인 캐릭터는 송중기란 배우와 만나 지금껏 본 적 없는 매력적인 캐릭터로 탄생했다.

딱 두 장면을 빼놓고는 대사 한 마디 없이 으르렁대는 게 전부이고 눈빛으로 사랑과 슬픔을 말하는 송중기의 연기는 이 영화에서만큼은 부족함이 없다.

비현실적이고 자칫 유치해질 수 있는 판타지인데도 영화는 촘촘한 짜임새로 설득력을 높이고 조연 배우들을 영리하게 활용한 유머 코드로 대중성을 살렸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