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日시민단체 "한일, '조선인 수몰' 해저탄광 유골 공동 수습해야"

조세이탄광서 4월 韓잠수사 참여 3차 조사…日정부, 안전성 우려에 지원 미온적

日시민단체 "한일, '조선인 수몰' 해저탄광 유골 공동 수습해야"
조세이탄광서 4월 韓잠수사 참여 3차 조사…日정부, 안전성 우려에 지원 미온적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시민단체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양국 정부가 일제강점기에 수몰 사고로 조선인 136명 등이 숨진 조세이 탄광 유골을 함께 수습해야 한다고 28일 밝혔다.
일본 시민단체 '조세이 탄광 수몰사고(水非常)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이하 모임)은 이날 오후 참의원(상원)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정부에 이 같은 내용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모임은 이날 오전 후생노동성, 외무성 관계자와 만나 한일 공동 사업 외에 유골 발굴을 위한 예산·기술 지원, 각료나 차관급 인사의 현지 시찰 등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조세이 탄광 안전성이 우려된다면서 긍정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이노우에 요코 모임 공동대표가 밝혔다.
모임 측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전후 80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가 성의를 보이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모임과 함께 일본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후쿠시마 미즈호 사회민주당 대표는 "정부가 지켜보고만 있는데, 돌파구를 열어주면 좋겠다"며 "유골을 한국에 돌려주기 위해서는 국가 관여와 많은 사람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이케 아키라 일본공산당 의원도 "안전성이 우려된다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양국이 공동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세이 탄광 참사는 1942년 2월 3일 야마구치현 우베시 해안에서 약 1㎞ 떨어진 해저 지하 갱도에서 발생했다. 갱도 누수로 시작된 수몰 사고로 조선인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희생자 수습과 사고 경위를 둘러싼 진상 규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일본 정부는 조세이 탄광 유골의 매몰 위치가 분명하지 않다는 이유 등을 들어 정부 차원의 조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모임은 크라우드 펀딩으로 모은 자금을 활용해 지난해 10월과 올해 1∼2월 두 차례 잠수 조사를 했으나, 유골로 추정되는 물체는 발견하지 못했다.
일본인 수중탐험가 이사지 요시타카 씨는 2차 조사 당시 갱도 입구에서 265m 지점까지 들어갔으나 목재 등 구조물에 막혔다.
모임은 3차 조사를 4월 초에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4월 1∼2일에는 한국과 일본 잠수사들이 공동 조사를 하고, 3∼4일에는 이사지 씨가 단독 조사를 한다.
아울러 모임은 바다 위에 솟아 있는 배기구 내부 장애물 제거 작업과 갱도 보강 공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노우에 대표는 "일본의 바닷속에 유골을 방치한 채 (양국의) 미래 지향과 우호를 말하지 않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