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우진의 돈의 세계] ‘K스틸’의 힘

철기시대가 열린 이후 철은 거듭 진화했다. 해면철 이후 선철과 연철, 강철 순서로 발달했다. 연철 정련법은 18세기 말 영국에서 발명됐다. 연철은 두드리거나 압착해서 가공하기 쉽다. 에펠탑은 모양이 다양한 철제 부품을 먼저 제작한 뒤 옮겨와 리벳으로 조립해 세워졌고, 그래서 연철이 소재로 선택됐다. 강철 정련법도 영국이 19세기 중반에 개발했다. 20세기 초에 등장한 스테인리스강도 영국제다.
![[사진 포스코]](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3/14/689defdd-08b5-4157-9fb0-5bac0352c79e.jpg)
고망간강은 액화천연가스(LNG) 탱크와 초대형 변압기 등에 쓰인다. 천연가스를 대량 저장·수송하려면 극저온으로 액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한화오션 등 조선사가 LNG운반선과 LNG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에 고망간강을 사용하는 이유다. 포스코는 광양 제2 LNG터미널 저장탱크를 5호기부터 고망간강으로 짓고 있다. 트럼프 2기 미국 정부가 12일부터 철강 관세 25%를 예외 없이 적용하기로 했지만, 경쟁력 있는 한국 고망간강 등 품목은 타격을 덜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소재는 의미를 부여해 이름을 짓고 불러줄 가치가 있다. ‘고망간강’ 대신 ‘K스틸’은 어떨까. 개발한 엔지니어 이순기 수석 연구원의 ‘기(氣)’도 담아서.
백우진 경제칼럼니스트·글쟁이㈜ 대표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