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면세점 추락…업계 “정치권, 규제에만 목 매”
━
유통업계 옥죄는 규제
![유통업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영업 시간과 면허 기간 등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해소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1월 대형마트 의무 휴업 폐지안을 발표할 당시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의 모습. [뉴스1]](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3/27/40e5242a-cf8c-47fa-aab0-69a9d36c2a21.jpg)
대표적인 법안이 2013년 시행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다. 당시 정부가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한 달에 두 번 공휴일 의무휴업, 영업시간 제한(오전 10시~자정), 출점 제한(전통시장의 반경 1㎞ 내) 등 마트·슈퍼를 규제하는 내용을 담았다. 정부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지난해 1월 공휴일 의무휴업·영업시간 제한 폐지 등을 담은 개선안을 발표했지만, 21대 국회에서 진척이 없었다. 22대 국회에선 야당을 중심으로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이 여럿 발의된 상황이다.
지난 20일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 등 10명이 올해 12월 종료되는 SSM 규제(전통시장 반경 1㎞ 이내 출점 제한)를 5년 연장하는 법안을 내놨다. 지난달엔 규제 대상을 대형마트·SSM에서 백화점·면세점·아웃렛까지 확대하는 법안도 발의된 상황이다.
유통업계에선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SSM)을 옴짝달싹 못하게 묶어둔 규제가 시장의 성장을 가로막았다고 평가한다. 골목상권 보호라는 기대한 효과는 보지 못하고 인근 음식점·리테일(소매점) 등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이 피해를 본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랐고 이미 229개 지자체 중 30% 이상이 조례 개정을 통해 의무휴업일을 평일로 바꿨다.
특히 영업시간 제한 규제는 24시간 판매·배송하는 이커머스(전자상거래)와의 경쟁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어 대형 유통업체에 치명상을 입혔다고 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유통 시장에서 온라인 비중은 2016년 32.4%에서 지난해 50.6%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들은 죽어가는 지역 상권을 살리겠다고, 모객 효과가 좋은 대형마트나 백화점 같은 유통 시설을 유치하려고 경쟁하는데 족쇄가 풀리지 않으니 참 답답하다”고 말했다.
![유통업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영업 시간과 면허 기간 등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해소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1월 폐업한 신세계 면세점 부산점의 모습. [연합뉴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3/27/b0d8c52c-5ccf-40f2-8bbc-7af435cbeb75.jpg)
정부도 코로나19 등과 맞물린 면세업계의 위기감을 인지하고 면세점 특허수수료 50% 감면, 주류 면세 한도 폐지 등 지원책을 내놨지만, 이 역시 ‘현실을 모르는 조치’라는 반응이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코로나19, 중국 한한령(限韓令) 같은 대외 이슈와 한국 로컬 제품을 살 수 있는 로드숍으로 눈을 돌리는 관광객이 늘어난 영향이 크지만, 무엇보다 2013년 규제 시행 이후 면세사업자가 크게 늘어 수급 불균형이 심화된 것이 결정적 요인”이라고 말했다.
최현주([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