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진의 마켓 나우] 관세 혼돈에도 넘어지지 않고 중심 잡는 법

종잡기 힘들 정도로 왔다 갔다 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혼란을 키운다. 트럼프가 얼마 전 “많은 국가에 관세 면제를 줄 수 있고 관대한 태도를 취할 것이다”라고 한 것도 잠시. “나는 너무 많은 예외를 원치 않는다”며 입장을 바꿨고, 이어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계획을 깜짝 발표했다.
투자자가 일희일비하지 않고 중심을 잡으려면 무엇보다 트럼프의 머릿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즉 이번 관세전쟁의 전체 기본 틀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핵심 포인트에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로 트럼프 행정부는 ‘최적 관세’와 ‘전술 관세’라는 투 트랙의 관세 복안을 지닌 듯하다. 최적 관세율은 미국의 국부를 극대화하는 최종 관세율이고, 전술 관세율은 가장 효과적으로 협상을 끌어내려는 일종의 ‘허세 관세율’이다. 즉 미 정부는 집권 초기에 최적 관세율보다 훨씬 높은 관세율을 때리고 유리한 협상 지위를 차지하려 할 것이다. 따라서 관세의 불확실성은 바로 지금이 가장 극심하고 시장은 관세 부과 초기에 더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또한 미국 경제조차도 올해는 일정 수준의 비용을 피하기 어려운 만큼, 경기침체 공포가 가세할 것이다. 이점이 올해 세계 경제와 증시가 풀어야 할 최대 난제다. 이는 동시에 지금의 부담 너머에는 ‘줄 협상’의 여러 호재가 숨어 있음을 뜻한다.
셋째로 트럼프 정부는 틈만 나면 크고 작은 정치적인 목적에 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다. 즉 무역과 직접 관련이 없는 문제나 지정학적 이슈를 해결하는 데 관세를 종종 사용할 것이다. 안보 지형을 바꾸거나 상대국에 군사비 지출을 압박하거나 심지어는 미국 국가부채 조정과 같은 기발하고 까다로운 목적에 느닷없이 관세가 동원될 수 있다.
어쩌면 내년쯤 관세전쟁 2라운드에서는 국채금리를 낮추거나 달러 약세를 유도하는 게 관세 카드의 주된 목적이 될 수도 있다.
김한진 삼프로TV 이코노미스트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