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에 반격 나선 메타, 라마4 공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운영하는 메타가 새 인공지능(AI) 모델 ‘라마4’(Llama4)를 공개했다.5일 메타에 따르면 라마4는 텍스트·비디오·이미지·오디오 등 다양한 종류 데이터를 통합해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AI 모델이다. 크기에 따라 ‘스카웃(Scout)’ ‘매버릭(Maverick)’ ‘베헤모스(Behemoth)’ 등 3가지 제품군으로 구성됐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우리 목표는 세계 최고 AI를 구축하고 오픈 소스(개방형)로 공개해 전 세계 모든 사람이 보편적으로 접근하는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메타는 라마4 주력 모델인 매버릭이 더 저렴한 비용으로 경쟁사 AI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메타는 매버릭에서 100만 토큰을 사용할 때 드는 비용이 최대 0.49달러로 오픈AI의 최신모델 ‘GPT-4o’의 10% 수준이라고 밝혔다. 구글의 ‘제미나이2.5 프로’보다도 61% 저렴한 수준이다. 메타는 라마4 개발 과정에서 처음으로 ‘전문가 혼합(MoE)’ 기법을 사용했다. 올해 초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중국 AI기업 딥시크가 사용한 방식이다. 특정 작업시 문제 해결에 필요한 AI만 활성화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미국 IT전문 매체 테크크런치는 “딥시크 등장에 위기감을 느낀 메타가 위기감을 느끼고 라마4 출시를 앞당겼다”고 보도했다.
라마4의 가세로 빅테크 간 저비용·고효율 AI 모델 개발 경쟁은 치열해질 전망이다. 오픈AI는 지난 2월 GPT-4.5를 출시한 데 이어 상반기 중 추론 모델을 통합한 GPT-5를 선보일 예정이다.
오현우([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