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봄철 산나물, 먹어도 괜찮을까?…독초와 구별하는 법

모양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운 산나물과 독초. 사진 산림청 국립수목원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봄철을 맞아 산나물과 유사한 독초를 잘못 섭취해 복통 등 장염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10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양 기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독초 섭취로 인한 복통 및 중독 사례는 총 41건에 달하며, 이 가운데 3~6월에 집중된 사례가 33건으로 전체의 약 80%를 차지했다. 봄철에 중독 사례가 빈발하는 이유는 꽃이 피기 전 잎이나 뿌리만으로는 산나물과 독초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봄철 대표적인 독초로는 미국자리공, 삿갓나물, 동의나물, 은방울꽃, 털머위 등이 있다.

‘더덕’과 비슷한 덩굴성 다년초인 ‘미국자리공’은 뿌리에 주름이 없고 자주색 줄기가 나오며 향기가 없어 구분이 가능하다.

모양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운 산나물과 독초. 사진 산림청 국립수목원

또한, ‘우산나물’과 혼동하기 쉬운 ‘삿갓나물’은 줄기 끝의 잎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으며, ‘곰취’와 유사한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에 둔한 톱니가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외에도 ‘산마늘’(명이나물)과 비슷한 ‘은방울꽃’은 뿌리에 강한 독이 있으며, ‘머위’와 혼동하기 쉬운 ‘털머위’는 잎이 두껍고 윤기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간혹 ‘산괴불주머니’를 쑥으로 오인해 섭취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모양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운 산나물과 독초. 사진 산림청 국립수목원
모양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운 산나물과 독초. 사진 산림청 국립수목원
모양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운 산나물과 독초. 사진 산림청 국립수목원
모양이 유사해 구별하기 어려운 산나물과 독초. 사진 산림청 국립수목원

식약처와 국립수목원은 “독초와 산나물은 비슷한 생김새로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의 확인 없이 임의로 채취해 섭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산나물이라 하더라도 ‘원추리’, ‘두릅’, ‘고사리’ 등은 식물 고유의 독성 성분을 미량 함유하고 있어 반드시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친 후 섭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구토를 유발할 수 있는 콜히친(Colchicine) 성분이 증가하므로 어린잎만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안전하다.

식약처와 산림청은 만일 독초를 잘못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하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 남은 식물도 함께 가져갈 것을 권고했다.

독성 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산림청 국립수목원 누리집(www.kna.forest.go.kr)에 게시된 연구간행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와 산림청은 “일반적으로 산나물과 독초를 구분하기 쉽지 않으므로 채취하지 않는 것이 독초 섭취를 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식용 가능한 산나물도 올바른 조리방법을 확인하고 섭취할 것을 당부했다.



이 기사는 구글의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조문규([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