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에 바빠진 의협 "이달 중 사태 해결"…대응 본격화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 국면에서 정부와 대립해온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와 국회에 공식적인 논의 창구 마련을 재차 촉구했다. 조기 대선과 2026년 의대 모집인원 확정을 앞두고 의협이 의료계 유일 법정 단체로서 영향력을 키우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의협은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대선기획본부 출범식 및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열었다. 김택우 의협 회장,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전국 16개 시도의사회장 등이 참석한 이 자리에서 의협은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 해체 ▶정부·국회·의료계 공식 테이블 마련 ▶의대생·전공의에 대한 정부의 공식 사과 ▶교육 불가능한 의대의 입학정원 조정 등이 담긴 결의문을 채택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의료정책은 사회적 합의와 전문가 중심의 과학적 판단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강행이 아니라 복원"이라고 밝혔다.

앞서 의협은 지난 8일에도 정부와 국회에 공식적인 대화 창구 마련을 요청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기존의 강경 대응 기조를 대폭 수정해 대화 국면으로 전환한 모습이다. 이 같은 제안을 한 지 이틀만인 지난 10일엔 김택우 의협 회장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의정갈등 해법을 놓고 마주 앉기도 했다.
의협 한 관계자는 "의대생 유급이 현실화하면 대선 정책 제안에서 의료계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른 관계자는 "대선 국면에서 의정갈등을 마무리 짓고 의협이 의료계 요구를 전달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협이 대화 카드를 내세우면서 집행부 간 갈등도 드러났다. 강경파로 꼽히는 박단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2일 대전협 내부 공지를 통해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의협은 정부·국회와 만났다. 최근 만남 과정에서 대전협·의대협(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과 충분히 협의하지 않았다는 점은 약간의 불안 요소"라고 밝혔다.
김 회장과 장관들 사이의 면담이 의정갈등의 핵심 당사자인 전공의·의대생과 사전 논의를 거치지 않았다는 불만을 담았다. 박 위원장은 "숭례문에서 보자"며 오는 20일 예정된 전국의사궐기대회 참석을 독려하기도 했다. 한 사직 전공의는 "박 위원장이 집회 때 세를 과시해 정부를 최대한 압박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채혜선.김은지([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