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 경기도가 전국 최다 21.6%…지하안전 자문단 만든다

경기 광명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 붕괴 사고를 계기로 지반침하 사고를 사전 인지하고 예방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8년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한 경기도는 전문가를 포함한 지하시설물 안전 관리 협의체를 구성하고 지원하는 법제화에 나섰다.
14일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현재까지 전국에서 1349건의 지반침하가 발생했다. 지역별로 경기가 291건(21.6%)으로 가장 많았고 광주 155건(11.5%), 부산 134건(9.9%), 서울 117건(8.6%), 충북 111건(8.2%) 순이었다. 지하시설물 관리자가 안전점검을 해야 하는 지하시설물은 경기도에만 총연장 1만3209㎞에 달한다.
붕괴 사고가 난 신안산선 지하터널은 투아치(2-arch) 터널 공법으로 시공됐다. 투아치 공법은 두 개의 아치 형태로 이뤄진 터널 구조로 중앙터널을 굴착해 중앙 벽체를 시공한 뒤 이어서 좌우측 터널을 굴착, 중앙 벽체가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다.

신안산선 5-2공구(광명 일직동 372의 12 일원) 준공은 당초 오는 12월 예정이었으나 사실상 무기한 연기됐다. 사고는 지난 10일 오후 9시50분쯤 터널 내부 중앙 버팀목(지지대)이 파괴된 뒤 11일 오후 3시13분쯤 좌우 아치 구조가 연쇄적으로 무너져 상부 도로와 일부 건물이 침하되면서 발생했다.
중앙 기둥이 파손됐다는 사실을 확인한 시공사는 2시간40분 뒤인 11일 오전 0시30분쯤 광명시에 신고했다. 오전 2시부터 지표 침하와 터널부 모양 변화를 1시간 단위로 측정한 결과 ‘이상 없음’ 보고를 한 뒤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와 현장을 확인했다. 이후 터널 내부에 H빔을 우선 설치하는 등 예방 시공을 했으나 붕괴를 막지 못했다.
터널 내부에 머무르던 작업자 17명이 대피하는 동안 상부에 있던 굴착기 기사 A씨(29)와 포스코이엔씨 소속 B씨(50대)가 매몰돼 A씨만 붕괴 13시간여 만에 구조됐다. B씨에 대한 수색은 기상악화로 중단됐다 재개된 상태다. 소방 당국은 B씨가 매몰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에 위험 요인을 제거하면서 진입로를 확보하고 있다.
지반침하발생(2018~2025) 원인은 전체 1349건 중 하수관 손상이 632건(46.8%)으로 가장 빈번하고 다짐(되메우기) 불량 244건(18.0%), 굴착공사 부실 95건(7.0%), 기타매설물 손상 87건(6.4%), 상수관 손상 86건(6.3%) 순이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이날 ‘경기도 지하안전 관리 및 유지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심의하고 본회의 상정을 검토 중이다. 조례 개정안의 골자는 지하개발사업장 등에 대한 현장기술자문, 지하안전평가 이행 여부 등을 자문하는 ‘경기도 지하안전지킴이’를 조례에 신설하자는 취지다.
이 조례안을 대표발의한 김영민 경기도의회 의원(용인2)은 “지반침하에 따른 피해 예방을 위해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기술 지원을 하자는 것”이라며 “수도권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굴착공사가 진행되는 지하개발사업에 대한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손성배([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