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앞둔 日경제재생상 "美 관심사항 무엇인지 확인하겠다"
미국과 관세 협상을 앞둔 일본이 “가장 빠른 속도의 재검토”라는 목표를 제시하며 협상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오는 16일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떠나는 아카자와 료세이(赤澤亮正·64) 경제재생담당상은 14일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일·미 양국의 이익이 되는 타개책을 모색해 가장 빠른 속도로 재검토 합의를 목표로 하겠다”고 밝혔다.
아카자와는 우선 과제로 “미국의 관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신문에 밝혔다. 상호관세(일본 24%)에 대한 우려를 미국 측에 전달하는 등 일본의 입장도 강조할 계획이다. 그는 “비관세 장벽 및 농산물 취급, 환율 등 미국 측이 관심사항으로 들고 있는 것은 알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말을 하는지 확인하고 싶다”고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번 협상과 관련해 "일본 정부는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지난달 발간한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NTE)’를 참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400쪽 분량의 해당 보고서에서 일본 관련 내용은 11쪽 정도다. 이를 참고해 협상 전략을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선 자동차와 농산품 장벽이 거론됐는데, 일본 정부는 이와 관련한 규제를 완화하는 것을 협상 카드로 검토하고 있다. 닛케이는 “수입차 규제 완화 방안으로 안전성 인증 제도 등이 부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에선 차량 판매를 위해선 추돌사고를 대비한 차량의 파손 정도를 알 수 있는 검사 결과를 요구하는데, 이를 미국 기준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자국 산업에 큰 타격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협상 카드를 마련할 전망이다. 닛케이는 “일본 정부 내에서는 비관세 장벽이 아닌 교섭 카드도 이미 거론된다”며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사업 협력과 (무기 등) 방위장비 구입 확대안”이라고 전했다.
한편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관방장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반도체 제조장치 등에도 관세 제외가 아닌 추가 관세 부과를 할 생각을 드러낸 데 대해 “향후 미국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을 확실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해 보복관세에 대해 “지금으로선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선 “미국의 관세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일·미 무역협정과의 정합성에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다는 견해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김현예([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