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반 후프의 마켓 나우] 탈탄소화 강국 이끌 한국의 조선·해운·금융


해운업 탈탄소화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 친환경 선박 개발과 도입에는 연간 최대 280억 달러, 저탄소 연료 인프라 구축에는 최대 90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된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변수로 작용한다. 2023년 말부터 홍해 지역의 긴장 고조로 다수 선박이 아프리카 남단을 우회하면서 긴 항로와 연료 소비 증가로 탄소 감축 전략에 역효과를 초래했다.
금융은 단순한 자금 조달을 넘어 전환을 가속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 주요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산업 맞춤형 자율규범인 ‘포세이돈 원칙’을 통해 해운업의 탈탄소화를 지원한다. 이는 선박의 탄소 성과를 금융 의사결정에 반영하는 첫 번째 국제 기준이다. 지속가능연계대출(SLL) 등 다양한 녹색 금융상품이 개발되며 해운사의 전환 투자를 뒷받침하고 있다. 수십 년간 이어질 대규모 설비 투자와 기술 혁신은 보다 창의적이고 유연한 금융 솔루션이 요구한다.
한국은 세계적인 조선·해운 경쟁력을 갖춘 국가다. 한국은 조선사·선사·금융기관·정책당국 간의 협력으로 글로벌 해운업의 녹색 전환을 주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정부는 탄소 가격제, 투자 보증, 금융 지원 등 정책 수단을 강화해야 하며 금융기관은 해운사의 투자 리스크를 완화하는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이해관계자 간 협력 체계가 뒷받침된다면 한국은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며 세계 해운 산업의 녹색 전환을 이끄는 핵심 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필립 반 후프 ING 한국 대표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