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6·3 대선시계와 함께 간다…7월 패키지 합의 추진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2+2 협의 후 브리핑을 통해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 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하는 ‘7월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하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양국이 유예 기간 내에 관세와 비관세 통상 현안을 한꺼번에 아우르는 패키지 합의를 추진한다는 의미다.
━
민주당은 ‘한덕수 대망론’ 의심
이 때문에 이날 2+2 협의 후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는 7월 패키지가 ‘6·3 대선 이후 최종 합의’를 의미하는지 등 7월 패키지의 정확한 의미를 묻는 질문이 쏟아졌다. 안 장관은 ‘7월 패키지’에 대해 “상호관세 유예 기한(90일)이 7월 8일”이라며 “그때까지 협의하는 협상 목표치라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
최 “대선일정 설명, 미국도 동의”
정부 대표단은 전체적으로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조이지만, 속도전을 추구하는 듯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설명에는 온도차가 있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2+2 협의 결과를 설명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생각했던 것보다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며 “우리는 이르면 다음 주 양해에 관한 합의에 이르면서 기술적인 조건들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들(한국 정부)은 일찍 왔고 자기들의 최선의 제안(A game)을 가져왔다”며 “그들이 이를 이행하는지 볼 것”이라고 했다.

━
한국 “서두르지 않겠다”지만…
향후 양국 간 협의는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투자 협력 ▶통화(환율) 정책 등 4개 분야에 초점을 맞춰 이뤄진다. 조만간 산업부와 USTR 간 실무 협의를 통해 이를 더욱 구체화할 예정이다. 미측이 이날 2+2 회의에서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하진 않았지만, 다음 주부터 예정된 실무 협의에서 분야별 청구서를 들이밀 거란 예상이 나온다. 정부는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등에서 협상 분야와 대응 수위 등을 가다듬은 뒤 실무 협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다음 달 15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그리어 USTR 대표와의 고위급 협의에서 협상 윤곽이 좀 더 뚜렷해질 전망이다.
최 부총리는 “우리 측은 미국의 주요 관심사인 무역·투자·조선·에너지 등과 관련한 우리의 협력 의지와 비전을 소개했다”며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폭탄’을 부과해 자동차가 대미 수출 1위 품목인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

━
베센트 장관, ‘환율’ 실무 협의 제안
다만 이번 2+2 협의에서 방위비 분담금 문제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관세 협상과 관련해 “다른 나라들은 미국을 통해 부자가 됐다”며 “우리는 그들의 군대를 돌봐 왔다. 군대는 우리가 말할 또 다른 주제이며 우리는 그 어떤 협상에도 이 주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방위비 문제는 관세 협상과 별개로 다루겠다는 뜻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미 재무부 청사에서 진행된 2+2 협의는 오전 8시부터 9시 25분까지 진행됐다.
김형구.김하나([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