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중심 충청] 광역형 비자 도입으로 일·학습 병행 ‘K-유학생 제도’ 탄력 받는다
충청북도시범사업에 선정돼 830명 배정받아
바이오·반도체 등 전공 유학생 대상
졸업 후 도내 취업 통한 정착이 목표
![김영환 충북지사는 도내 대학 관계자와 지난해 9월 태국 치앙마이대학교를 방문해 충북형 K-유학생 설명회를 개최하고, 학생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사진 충북도]](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8/a7680c1b-33d9-48cf-9a18-59b8df281c39.jpg)
광역형 비자는 자치단체가 현지 사정에 맞춰 외국인 체류 자격을 설계한 뒤 법무부가 비자를 내주는 사업으로, 지난 2일 충북 등 14곳이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유학생 유치를 인구 감소와 지역 경제 활성화 해법으로 제시한 충북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광역형 비자(D-2) 830명을 배정받았다.
━
비자 발급 재정보증금 절반으로 대폭 완화
항공산업, 화장품·식품·바이오 산업, 뿌리산업, 이차전지, 반도체, 복지 관련 학과 등을 전공한 유학생이 대상이다. 충북도는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에 참여할 대학 등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하고 있다. 대학과 기업이 참여하는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우수 유학생 유치→한국어 집중 교육→일·학습 병행→졸업 후 도내 기업 취업 등 충북형 K-유학생 정착 모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태범 충북도 K-유학생팀장은 “일·학습 병행 프로그램을 마친 유학생이 졸업 후 지역특화비자(F-2-R)와 특정활동비자(E-7)를 받아 지역 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충북도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공을 들이는 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위기와 만성 인력난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인도·우즈베키스탄·베트남 등 9개국에서 유학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유학생 유치 활동을 했다.
이 같은 홍보 덕에 충북에 온 외국인 유학생 수는 가파르게 늘고 있다. 충북도에 따르면 지난 1일 기준 충북 거주 유학생 수는 1만334명으로 전년 동월(5227명) 대비 95% 증가했다. 1년 새 2배 가까이 늘었다. 전체 유학생 중 학부생은 8378명, 어학연수 중인 학생은 1956명으로 집계됐다.
![김영환 충북지사가 지난해 10월 충북도립대에서 열린 K-가디언 발대식에서 참석자들과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 충북도]](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8/a907cfb6-0485-4338-941f-1767ad5f89da.jpg)
━
유학생 유치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
충북도는 유학생을 뒷바라지하는 시책도 마련했다. 지난 14일부터 전국에서 처음으로 외국인 유학생 전용 온라인 플랫폼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이 플랫폼은 도내 18개 대학의 입학 및 비자 정보, 각종 생활 편의시설 이용, 취업 정보 등을 담아 유학 생활을 돕는다. 지난해 옥천에 발족한 유학생 후견인 제도인 ‘K-가디언즈’도 확대한다. 이 사업은 지역 인사가 유학생 멘토가 되어 지역 정착을 돕는 것으로, 상반기 시군 자원봉사센터를 통해 K-가디언즈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학생을 활용한 외국인 통·번역 지원 사업도 진행한다. 한국어 능력(TOPIK 4급 이상)을 갖춘 유학생을 선발해 통·번역 상담 보조, 문서 작성, 일반 사무보조 등 일감을 주고 최저시급 수당과 교통비 등을 주기로 했다. 오는 11월 충청대 컨벤션센터에서 외국인 유학생 취업 박람회를 개최하고, 도내 기업이 유학생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장려금을 주는 제도를 고려 중이다.
유학생을 비롯해 주민·근로자·재외동포 등 도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지원 업무와 각 시·군별 대책을 수립할 충북 외국인 사회통합지원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충북도에 따르면 도내 체류 외국인 수는 2014년 3만6206명에서 2024년 7만2719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충북 전체인구의 4.4%를 차지하며, 이 비율은 전국 4위 수준이다.
충북도는 급증하는 외국인을 통합·관리할 도 단위 광역 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외국인 사회통합지원센터는 충북과 세종·강원·전북을 제외한 13개 시도에서 운영 중이다. 박선희 충북도 외국인정책추진단장은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산재해 있는 외국인 지원 사업을 총괄하기 위해서는 광역센터가 필요하다”며 “도내 외국인 유학생을 우수 인재로 육성하고, 지역 사회 일원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종권([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