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전선, 美 해저케이블 대규모 공장 세운다…트럼프 2기 첫 韓기업 착공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은 버지니아주 엘리자베스강 유역 39만6700㎡(약 12만 평) 부지에 연면적 7만㎡(약 2만 평) 규모로 지어진다. 오는 2027년 3부기 준공 예정이며, 2028년 1분기부터 양산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330여 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생산 설비에는 201m 높이의 전력 케이블 생산타워(VCV 타워)와 전용 항만시설 등이 포함된다. 해저케이블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에서 만들어낸 전기를 육지로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바닷속 전선이다.
━
구본규 대표 “글로벌 수요 신속히 대응”
구본규 LS전선 대표는 “LS그린링크 공장 건설은 LS전선이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기업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바탕으로 급증하는 글로벌 해저케이블 수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공장 부지 앞 도로 ‘LS 1번가’ 명명
LS전선은 조 바이든 행정부 때 제정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연방정부로부터 9900만 달러의 투자세액공제를 받고 버지니아 주정부로부터 약 4800만 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받게 된다. 미 정부로부터 받은 지원금이 총 1억4700만 달러(약 2036억 원)에 달하는 셈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청정에너지 산업을 ‘신종 사기’라며 여러 차례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 만큼 IRA 세액공제 폐기 가능성이 거론된다. 패트릭 심 LS그린링크 대외협력담당 이사는 착공식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IRA 세액공제는 우리가 미국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라며 “우리는 세액공제에 대해 워싱턴에서 양당을 적극적으로 만나왔고 양당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
IRA 세액공제, 구리 관세 ‘변수’
김기수 LS그린링크 법인장은 “미국의 2024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만 32GW로 한국 연간 전력 수요(62GW)의 절반 수준이다. 2030년 120GW로 세 배 가까이 늘어 케이블 수요도 급증할 것”이라며 “LS그린링크는 이미 유럽 수출용 18개월치 물량을 확보한 상태”라고 말했다.
김형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